代命型 서사무가들의 이본 간 관계 및 구조 결정 요인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ㆍ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ㆍ저자명 : 이주영
ㆍ저자명 : 이주영
목차
1. 머리말2. 구조 도출과 이본 간 상호 관계
3. 이본 구성의 구조 결정 요인
4. 맺음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논문은 함경도, 전라도, 제주도에 많은 수가 전승되고 있는 대명형(代命型) 서사무가의 내적 구조를 밝혀 이본 상호 간의 관계와 구조 결정 요인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에
서 지칭하는 대명형 서사무가란 저승사자에게 목숨을 대신할 동물이나 물건을 제공함으로
써 죽을 운명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공통된 내용을 가진 것을 묶는 명칭이다.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황천혼시>, <혼쉬굿>, <장자풀이>, <고풀이>, <맹감본풀이> 등이 있다.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죽을 운명에 이르는 부분과 죽음으로부터 벗어
나는 부분이다. 후자는 거의 동일한 구성인 것에 비해 전자는 함경도-제주도형과 충청남도
-전라도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함경도-제주도형은 주인공이 가난하거나 가난했다가 부자가
되며 충청남도-전라도형은 처음부터 부자로 등장한다. 이 외에 죽음의 원인과 관련하여 그
원인이 분명하게 나타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데 이를 횡사(橫死)와 정명(定命)으로
구분했다.
총 34개의 이본 가운데 두 내용 부분을 모두 갖춘 32개를 검토한 결과 가난과 부자, 정
명과 횡사라는 두 개의 대립적 관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가난하면 정명하고 부자면
횡사한다는 상관적 대립 관념을 나타내고 있었다. 가난하면서 횡사하는 최악의 경우는 없
었으며 부자면서 정명하는 최상의 경우는 인물이 신성한 존재인 한 경우밖에 없었다. 이 최상의 경우는 신성한 인물을 내세워 두 대립 관념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측
된다.
두 개의 상관적 대립 관념을 연결하고 매개항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은 죄악의 유무였으
며 이것은 정명-횡사의 축과는 엄격한 상관성을 가지지만 가난-부자의 축과는 보다 느슨
한 관계에 있었다. 이로 인하여 두 축 모두에 대한 극단적 대립 구성이 한 개 축의 대립,
나아가 대립 구성이 해체된, 부자와 정명을 연결한 매개항으로 지향될 수 있었다. 또한 이
본 형성의 핵심적 요소인 죄악은 부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것과 관련을 갖고 있다.
영어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the inner structures of Shamanicepic of prolongation of life and to distinguish the relationship and the
structural determining factor of the variant. Main subjects of Shamanic epic
of prolongation of life is that the hero provides the animal or the thing which
will substitute a life to psychopomp with escape from dead. The works which
belong in this are HwangchunHonsi, Honsigut, Jangjapuri, Gopuri,
Maenggambonpuri etc.
The contents which come to divide in two parts are composed of the part
that it reach to the fate which will die and it escapes from the dead. The
rear part has an almost same composition, the front part is on a large scale
divided with Hamkyungdo-Jejudo style and the South Chungcheongdo-Chollado
style. In the former the hero is poor or who is poor becomes the rich man,
but in the latter he appears with the rich man from first. In relation to the
cause of dead, there are the versions what the cause appears clearly and which
don`t. These are divided with the predetermined death and the accidental death.
After an internal review of 32 variants which have two parts all from in
total 34, it discovered two opposing conceptions of poor and wealthy, the
predetermined death and the accidental death. It showed a correlative
opposing conception. In case of the poor he has the predetermined death,
under the opposite case he has the accidental death. There was not the worst
case that the hero is poor and dies accidentally. There is only one that the
hero is rich and has the predetermined death, just in case the hero is a holy
man. It is guessed that this best case meditate two opposing conceptions by
a holy man.
It is presence of sin which connects two correlative opposing conception
and composes a mediation clause. This has the interrelation with the
conceptions of the predetermined death and the accidental death strictly, but
with the conceptions of poor and wealthy has a looser relationship. The
extreme opposition about two conceptions move the opposition about one
conception and the mediation clause which connects the wealthy to the
predetermined death. Also the sin which is a key of variant formation has
a relation to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rich man.
참고 자료
없음"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
- 김복진의 유성기 동화의 특징 : 옛날이야기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34페이지
- 삼바소(三番叟)의 형성과 배경 연구 : 미얄할미와의 비교적 관점에서38페이지
- 산대탈의 전승 현황과 완보/말뚝이의 변천 양상 : 산대놀이의 변천 과정 재구를 위한 시론42페이지
- 마산오광대의 대본 분석을 통해 본 연희성30페이지
-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 설화에 반영된 현실과 극복의 문제 : 실제 시집살이 체험담과 비교를 중심..32페이지
- 서사무가 <초공본풀이>의 짜임새와 미적 성취26페이지
- <일월노리푸념>의 신화적 성격44페이지
- 동아시아 신화에 나타난 여신창조원리의 지속과 그 의미 : 만주·한국 신화의 비교를 중심으로30페이지
- 비교신화의 관점에서 본 설문대할망34페이지
- 김치(金緻) 인물형상화 방식에 나타난 <차사본풀이> 서술시각 : [해동이적·보] 소재 <김치설화>와..3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