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代命型 서사무가들의 이본 간 관계 및 구조 결정 요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12
34P 미리보기
代命型 서사무가들의 이본 간 관계 및 구조 결정 요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1호
    · 저자명 : 이주영

    목차

    1. 머리말
    2. 구조 도출과 이본 간 상호 관계
    3. 이본 구성의 구조 결정 요인
    4.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이 논문은 함경도, 전라도, 제주도에 많은 수가 전승되고 있는 대명형(代命型) 서사무가
    의 내적 구조를 밝혀 이본 상호 간의 관계와 구조 결정 요인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에
    서 지칭하는 대명형 서사무가란 저승사자에게 목숨을 대신할 동물이나 물건을 제공함으로
    써 죽을 운명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공통된 내용을 가진 것을 묶는 명칭이다.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황천혼시>, <혼쉬굿>, <장자풀이>, <고풀이>, <맹감본풀이> 등이 있다.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죽을 운명에 이르는 부분과 죽음으로부터 벗어
    나는 부분이다. 후자는 거의 동일한 구성인 것에 비해 전자는 함경도-제주도형과 충청남도
    -전라도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함경도-제주도형은 주인공이 가난하거나 가난했다가 부자가
    되며 충청남도-전라도형은 처음부터 부자로 등장한다. 이 외에 죽음의 원인과 관련하여 그
    원인이 분명하게 나타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데 이를 횡사(橫死)와 정명(定命)으로
    구분했다.
    총 34개의 이본 가운데 두 내용 부분을 모두 갖춘 32개를 검토한 결과 가난과 부자, 정
    명과 횡사라는 두 개의 대립적 관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가난하면 정명하고 부자면
    횡사한다는 상관적 대립 관념을 나타내고 있었다. 가난하면서 횡사하는 최악의 경우는 없
    었으며 부자면서 정명하는 최상의 경우는 인물이 신성한 존재인 한 경우밖에 없었다. 이 최상의 경우는 신성한 인물을 내세워 두 대립 관념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측
    된다.
    두 개의 상관적 대립 관념을 연결하고 매개항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은 죄악의 유무였으
    며 이것은 정명-횡사의 축과는 엄격한 상관성을 가지지만 가난-부자의 축과는 보다 느슨
    한 관계에 있었다. 이로 인하여 두 축 모두에 대한 극단적 대립 구성이 한 개 축의 대립,
    나아가 대립 구성이 해체된, 부자와 정명을 연결한 매개항으로 지향될 수 있었다. 또한 이
    본 형성의 핵심적 요소인 죄악은 부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것과 관련을 갖고 있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the inner structures of Shamanic
    epic of prolongation of life and to distinguish the relationship and the
    structural determining factor of the variant. Main subjects of Shamanic epic
    of prolongation of life is that the hero provides the animal or the thing which
    will substitute a life to psychopomp with escape from dead. The works which
    belong in this are HwangchunHonsi, Honsigut, Jangjapuri, Gopuri,
    Maenggambonpuri etc.
    The contents which come to divide in two parts are composed of the part
    that it reach to the fate which will die and it escapes from the dead. The
    rear part has an almost same composition, the front part is on a large scale
    divided with Hamkyungdo-Jejudo style and the South Chungcheongdo-Chollado
    style. In the former the hero is poor or who is poor becomes the rich man,
    but in the latter he appears with the rich man from first. In relation to the
    cause of dead, there are the versions what the cause appears clearly and which
    don`t. These are divided with the predetermined death and the accidental death.
    After an internal review of 32 variants which have two parts all from in
    total 34, it discovered two opposing conceptions of poor and wealthy, the
    predetermined death and the accidental death. It showed a correlative
    opposing conception. In case of the poor he has the predetermined death,
    under the opposite case he has the accidental death. There was not the worst
    case that the hero is poor and dies accidentally. There is only one that the
    hero is rich and has the predetermined death, just in case the hero is a holy
    man. It is guessed that this best case meditate two opposing conceptions by
    a holy man.
    It is presence of sin which connects two correlative opposing conception
    and composes a mediation clause. This has the interrelation with the
    conceptions of the predetermined death and the accidental death strictly, but
    with the conceptions of poor and wealthy has a looser relationship. The
    extreme opposition about two conceptions move the opposition about one
    conception and the mediation clause which connects the wealthy to the
    predetermined death. Also the sin which is a key of variant formation has
    a relation to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rich ma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