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술치료연구 / 16권 / 6호
ㆍ저자명 : 김순란
ㆍ저자명 : 김순란
목차
Ⅰ.서 론Ⅱ.이론적 배경
Ⅲ.연구 방법
Ⅳ.연구 결과 및 해석
Ⅳ.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FSA(FaceStimulusAssessment)반응 특성을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FSA가 장애아동의 지적 능력 수준을 진단하는 사정도구로써 타당한 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본 연구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첫째,도판 1․2에 나타난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FSA 반응 특성의 차이는 어떠한가?둘째,도판 3에 나타난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FSA 반응 특성의 차이는 어떠한가?이다.연구대상은 비장애학생 276명과 청각장애학생 178명,정신지체학생 146명으로 총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자료분석은 SPSSWIN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학생유형별 FSA 반응 특성의 차이검증은 교차분석(chi-squares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FSA반응에 대한 채점자 간 일치도는 .972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도판 1과 2에 나타난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FSA 반응 특성은 ‘머리․얼굴․눈․코․귀․입․목․옷․장신구․색상수․추가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도판 3에 나타난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FSA 반응 특성은 ‘그림형태․그림방향․공간활용․색상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따라서 FSA는 장애아동의 지적 능력수준을 진단하는 사정도구로서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omparative analysis of FSA(FaceStimulusAnalysis)responsiv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disorder and students without disorder, so as to see if FSA would be a diagnostic assessment for measurement of cognitive capacity of students with disorder. The issues to study are, first, what responsiv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disorder and students without disorder show based on the plates1and 2 Second,what respons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re based on the plate 3 Study subjects are a total of 600 students consisting of 276 students without disorder, 178 students with hearing impediment, and 146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PSSWIN 12. 0 is adopted for data analysis, employing 'frequency and percentile'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chi-squares analysis' for FSA responsiv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groups of the subjects. Consistency of the assessors on FSA is. 97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exhibit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disorderand students without disorder in their FSA responses on 'head/ face/ eyes/ nose/ ears/ mouth/ neck/ clothes/ accessaries/ numberofcolors/ extraitems',accordingtotheplates1 and 2. According to the plate 3,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SA responses between the two groups on' types of drawings/ directionofdrawings/ spaceused/ numberofcolors'. Thus, FSA can be said to be a valid assessment for measurement of cognitive capacity of students with disorder.
Key Words: FSA(Face Stimulus Assessment), FSA Drawing Test,Portrait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