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대면 수업과의 관련, 교수자의 관여수준에 따른 온라인 협력학습의 과정과 결과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4
- 최종 저작일
- 2009.09
- 22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1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공학연구 / 25권 / 3호
ㆍ저자명 : 이성주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온라인 협력학습
Ⅲ. 연구방법
Ⅳ. 결과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면대면 수업과의 관련 유무, 교수자의 관여수준에 따라 온라인 협력학습 상황을 달리하여 그에 따른 온라인 협력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면대면 수업과의 관련 유무는 전통 교실수업과의 관련 유무로, 교수자 관여수준은 0수준부터 2수준까지 각각 학습자 통제 상황, 교수자 촉진상황, 교수자 통제 상황으로 처치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양적, 질적 방법이 모두 사용되었으며 특히 학습과정의 경우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생성된 메시지의 분석을 통하여 참여수준, 메시지 수준, 개인수준의 상호작용, 집단수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과정을 보면 참여수준은 교수자 촉진 집단이 학습자 통제집단, 교수자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메시지 수준은 면대면 수업관련 유집단이 무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인별 메시지 내용분석을 통해 알아본 개인수준의 상호작용을 보면 면대면 수업관련 무집단의 사교적 상호작용 빈도가 유집단보다 의의 있게 높았으며, 학습자 통제집단의 절차적 상호작용 빈도가 교수자 통제집단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 메시지 지도를 통해 본 집단수준의 상호작용을 보면 <면대면 수업관련 유-학습자 통제집단>은 ‘빈도 빈약-관계 빈약형’을, <면대면 수업관련 무-학습자 통제집단>은 ‘빈도 풍성-관계 빈약형’을, <면대면 수업관련 유-교수자 촉진집단>은 ‘자기반추형’을, <면대면 수업관련 무-교수자 통제집단>은 교수자 중심의 ‘중앙집중형’을 나타냈다. 학습결과를 보면 면대면 수업관련 유집단의 학업성취가 무집단보다 의의 있게 높았으며, 교수자 촉진집단의 학업성취가 학습자 통제집단이나 교수자 통제집단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협력학습 과정에서 생성된 상호작용의 양과 내용이 학습의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학습과제와 관련된 상호작용이 발생하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협력학습 설계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ditions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for improving teaching-learning effec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ce-to-face teaching existence and the levels of teacher intervention on learning process and result. In this study face-to-face teaching existence meant the connection with traditional classroom lecture. The levels of teacher intervention was divided into three from level 0 to level 2; learner-control, teacher-facilitator and teacher-control. In the data analysis both quantitative method and qualitative method are used. For learning process participation level, message level, individual-level interaction and group-level interac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related to learning process were as follows: In the participation level, the teacher-facilitator situation was higher than learner-control or teacher-control. For the message level, the group without face-to-face teaching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 face-to-face teaching. In case of individual-level interaction, from analyzing individual message content, the social interaction frequency in the group without face-to-face teach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group with face-to-face teaching. And learner-control group’s procedural interaction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eacher-control group’s. In the group level interaction, 4 types of interaction discovered through message mapping. The type of ‘frequency poorness-relationship poorness’ came out in the learner-control group with face-to-face teaching. The type of ‘frequency richness-relationship poorness’ came out in the learner-control group without face-to-face teaching. The type of ‘self-reflection’ was from the teacher-facilitator group with face-to-face teaching and the type of ‘centralization’ from learner-control group without face-to-face teaching. The results related to learning achievement were as follows: The group with face-to-face teaching got better scores i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eacher-facilitator group ha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learner-control or teacher-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 the interactions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re closely connected with learning result.Key words : online collaborative lerning, face-to-face teaching, teacher intervention, interaction
참고 자료
없음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