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개념도를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과제에서의 지식공유과정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5.06
32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1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수록지정보 : 교육공학연구 / 21권 / 2호
저자명 : 류지헌, 권숙진

목차

Ⅰ. 개념도와 협력학습
Ⅱ. 협력 학습에서의 인지과정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 의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concept map)를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서로의 지식체계를 어떻게 공유하기 위하여 어떠한 인지적 과정을 거치게 되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두 명의 대학생으로 구성된 협력학습 집단이었으며, 10개의 협력학습 집단 중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산출물을 제시한 두 집단(복제형 개념도 집단과 혼합형 개념도 집단)의 지식공유 과정을 비교하였다. 학습자들의 지식공유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협력과정을 촬영한 비디오 자료 및 개념도가 활용되었으며, 근거이론에 의하여 자료에 대한 분석이 시도되었다. 학습자들은 개념도를 사용하여 개별적인 과제수행을 한 이후에 논의과정을 통하여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수행하였다.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개념의 정착(concept fixation), 의미의 협상(meaning negotiation), 지식의 조율(knowledge tuning)의 과정이 복제형 집단과 혼합형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관찰되었다. 그러나 복제형 집단은 일방적인 지식의 전수과정을 보였으며, 혼합형 집단에서는 밀도있는 상호작용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식공유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상대방의 지식구조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Ten pair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to a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that was to generate a concept map to arrange fifteenconcepts from the subject matter of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They were asked to generate an individual concept map first and work together to make a collaborative concept map. Among the pairs, two group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elected pairs showed totally different concept maps, which were assumed that they collaborated together in different ways. By comparing different collaborative pairs, it would be easier to identify how the collaboration would be performed differently and what wer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One pair was labeled as a duplicated concept map group that seemed to make a collaborative concept map like a duplication of one member's individual concept map. The other pair was labeled as a blended concept map group that made a collaborative concept map as reflecting unique features from each individual concept map. The main data resources of this study were video records of collaboration, concept maps, and transcriptions ofparticipants' collaboration. Grounded theory was appli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verbal data of collaboration, and frequency analysis was employed.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three stages of sharing knowledge in common: 1) concept fixation, 2) meaningnegotiation, and 3) knowledge tuning. The concept fixation was to fix the definitions of concepts. The meaning negotiation was to decid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The knowledge tuning was to externalize the structureof concepts collaboratively negotiated meanings.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 two groups had different interactions between members. For the duplicated concept map group, there was less interaction rather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while the blended concept map group showed intensive interactions. It was speculated that the duplicated concept map group performed a knowledge telling process though the other group performed knowledge transformation. The result of delayed test of generating an individual concept for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blended concept map group generated exactly the same concept map comparing with their collaborative concept map. However, the duplicated concept map group showed inconsistent concept maps to their collaborative concept map.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d that promoting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members will facilitate the knowledge sharing between members. It was also suggested to help learners to explore other learners' knowledge structure to improve knowledge sharing between them.Key words : Concept map, Shared mental model, Collaborative learning, Knowledge sharing, Problem solving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남북경제협력의 효율성 제고 방안 22페이지
    하지만 그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중의 하나가 대북투자의 현실성과 수익성 문제였다 ... 지식기반경제와 남북경협사업 개괄 지식기반경제의 개념과 특징 남북경제협력의 ... 대한 의존도를 증가시키면서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대립과 긴장을 완화시키게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개념도를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과제에서의 지식공유과정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