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인류의 미래와 교육의 비전
Ⅱ.패러다임의 전환
Ⅲ.교육정보화를 이용한 열린 교육의 새 교육판 짜기
Ⅳ.맺는말
참 고 문 헌
초록
이 논문에서는 정보 공학이 새로운 미래교육의 비전을 달성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 이 목적으로 우선 “변화”로 그 특성이 대변되는 소위 정보화 시대라고 불리우는 미래사회의 특성을 정의하였다. 이 변화는 모름지기 삶의 모든 부문에 변화를 가져오고, 지식의 수명은 점점 짧아진다. 이는 모든이들로 하여금 평생 지속적으로 학습할 것을 요구한다. 뿐만 아니라, 이 시대에 잘 적응하여 살아 남고 더 나아가서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고 이끌어 갈 수 있는 새로운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능력들은 창의력, 변화 적응력, 상상력, 함께 팀으로 일하는 능력, 꿈을 꾸고 꿈을 실현해 나갈 수 있는 능력, 새로운 선진기술 등 다양한 능력이 여기 포함된다. 이런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교육 시스템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학습자 중심, 자원 중심, 즉각적 교육을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제공해 줄 수 있는 열린 교육으로의 전환을 제시하였고, 열린 교육을 교육기회, 시간과 공간, 교육 방법, 학습자 자격, 교육에 대한 의식 등의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이 열린교육을 지원하고, 실시하는데 멀티미디어, 인터넷등과 같은 정보 공학의 활용은 학습현장을 풍요롭고, 자기 주도적이며, 즉각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하고, 상호 작용적이고, 상황 중심적이며 재미있는 곳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런 활용의 방식 및 기본 인프라를 정의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열린 교육의 비젼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교사의 역할이 제시된다. 결론적으로, 이런 공학적 적용은 어디까지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과, 수단과 목적을 잘 구분할 수 있는 지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ies to describe rol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fulfilling the vision of the future education. In this endeavor, it first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society, so called information society, of which the concept of “change” is the predominant one. Change enevitably brings about the change in every aspect of life and the life cycle of knowledge itself becomes shorter and shorter. This requires everybody to learn continuously to function well in this changing society. It then addresses the new core competencies that is required to survive and further more des ign and lead the such a society. Creativity, adaptability to the change, imagination, advanced skills, ability to work together as as team member, ability to dream and to pursue that dream are some of thos e new skills needed. Then the notion of the paradigm shift is introduced.To develop new competencies, educational system has to shift to a new paradigm that calls for a learner centered, resouce based, just in time education that is available to learners at anytime, anywhere. That is open and life- long education. Here the concept of the open learning is defined in tems of learning opportunities, time and place of learning, qualifitcations for learning, learning methods, terms of credit and diploma(), liscences, and the people's perspectives. In supporting and implementing the open learning environment, the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multimedia, internet based learning, can play a vital role. It discusses how to make the learning environment flexible, self- paced.self- directed, problem- solving oriented, interactive, context based, interes ting, exciting and providing the ins tant access to the information worldwide by applying educational technology. It also suggests how the teacher's role has to change in this resource centered new learning environment. As a conclusion, it emphas ises that the technology should be used as a means to achieve the educational vision, not a purpose itself. It strongly calls for the wisdom to distinguish the means (technology) from the end(vision of open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