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6권 / 1호
· 저자명 : 허운나
목차
Ⅰ. 서론
Ⅱ. 바람직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활용방식
Ⅲ. 한국 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의 미래 방향에 관한 시사점
참고문헌
기타참조
초록
1990년 7월, 호주의 시드니에서 열린 “교육에서의 컴퓨터 90”이라는 국제 컨훠런스의 주제강연에서, Seymore Papert (1)는, “인식론적 정치학의 페레스트로이카 (Peres troika ofEpis tomological politics )" 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思考방식, 지식의 획득 및 思考그 자체의 전환,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최근 동구권에서 일고있는 변화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인식론상의 변화가 규칙적이고, 형식적이고 위계적인 思考방식에서의탈피를 의미함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런 사고방식의 전환이라는 맥락에서 컴퓨터의 교육에서의 역할을 살펴볼 때, 그는 미래의 컴퓨터의 역할에 대해 두 가지 선택 즉,1) 교육과정 및 소프트웨어의 획일화로 이르는 명제적이고 규칙에 지배받는 지식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지속시킬 것인가, 아니면2) 획일화된 교육과정에 지배받지 않는, 다양한 思考방식을 개발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제공해주는 역할로 전화해야 할 것인가 하는 선택이 우리 앞에 있다고 강조하였다.현재 한국이 소프트웨어 시장에 나와있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의 量이나 質을 고려해볼 때, Papert가 이야기하고 있는 두 번째 선택은 우리나라와는 너무나 거리가 멀고, 비현실적인 것으로 들릴지 모른다. 그러나 이미 우리나라의 학교에 컴퓨터가 도입된 지 5년 이상이 되었고, 문교부, 과학기술처, 체신부 등과 한국전기통신공사, 한국교육개발원 및 데이터통신 등에서 컴퓨터 교육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위한 예산도 수립하고 있는 형편이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 제조회사 등도 마케팅 목적이긴 하지만,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뛰어들고 있고,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만을 목적으로 하는 소기업들도 점차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렇듯 최근에 교육용 컴퓨터 관련 사업에 公的, 私的기관에서 상당한 돈이 투자되고 있는 데, 이런 경향은 문교부나 전기통신공사의 정책을 보면 앞으로 몇 년간 지속될 것임이 분명하다. 이런 현상은 상당히 환영할 만한 것이긴 하지만, 걱정되는 점은, 이런 돈들이, “교육적 목적에 비추어서 어떻게 하면 가장 잘 쓰여질 것인가?”하는 데 대한 분명한 지표가 결여된 듯하다는 것이다. 나는 앞서 Papert가 말한 두가지 선택 중에서, 우리는 과연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지에 관해 주의를 환기시키고 싶다.
참고자료
· 없음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