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주의 장애인 고용 인식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ㆍ저자명 : 이성규, 양숙미
ㆍ저자명 : 이성규, 양숙미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2. 척도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연구결과 및 함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인식 척도개발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관한 인식척도는 개발되어 있으나, 고용주의 장애인고용에 관한 인식척도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인식에 관한 문헌조사와 고용주 대상 심층면접을 통하여 장애인고용인식에 관한 범주를 설정하였다. 척도의 구성내용에 대해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구성개념과 문항의 적절성을 검증 받았다. 이렇게 선정된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인식 범주를 중심으로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에관한 인식 척도에 관한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친 예비척도를 측정도구로 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부적절한 문항들을 걸러냄으로써 척도를 개발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172개 설문지 중 부적절한 설문지 15개를 제외하여 157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에 관한 인식 척도는 전체 모형의 유의성 검증결과 KMO 값은 .824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Bartlett 검정결과 유의확률이 .000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의 4개의 요인의 총 분산설명력은 63.887%로 나타났다. 전체 요인 값은 대부분 .50이상을 보여 각 변수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으며, 4개 요인이 적합한 요인으로 묶여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에 관한 인식 척도는 작업수행에 대한 우려 4문항, 장애인 고용관련 비용 4문항, 다른 사람들의 반 응 5문항,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4문항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고용주의 장애인 고용에 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것이며, 표준화된 척도를 활용함으로써 고용주의 인식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 초록
This research is basic study on the scale development of the employer's awareness for the handicapped employment. We set a category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and test the construct concept and appropriate of questions from the professional consultant. We Develops the preliminary questions about the employer's awareness for the handicappedemployment. We executed a pilot survey preliminarily scale after the contents validity verification. Pilot survey led and controlled the questions which are inappropriate in investigation and the scale made to refine. In 172 questions 157 excepted question 15 is inappropriate and analyzed. About the employer's awareness for the handicapped person employment scale showed a high level with .824. from the result of KMO value. The result of Bartlett test seemed with .000, and the total dispersion explanation power of the 4 factors appeared with 63.887%. The total factor value seemed above of most .50 and the propriety of each variable was guaranteed and suitable.
This scale is composed with 5 questions about the worry, 4 questions about the handicapped person, employment relation to cost 4 questions, the another people reaction 5 questions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4 questions, total 17 questions.
Key Words : employer, employer's awareness for the handicapped person employment, scale development, reliability, validity
참고 자료
없음"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
- 장애인복지인프라 개편 모의적용사업에 대한 고찰1) : 전달체계를 중심으로33페이지
- 장애인 진료에 대한 의사의 태도 및 행태1)24페이지
- 임금근로 장애인의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34페이지
- 신체장애인의 알코올의존과 우울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22페이지
- 정신장애인의 주거시설 생활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38페이지
- 자립생활 체험홈에서 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1)32페이지
- 여성장애인의 모성경험 특성 및 출산력 결정요인37페이지
-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여자청소년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42페이지
- 장애인영역 사회서비스 품질관련 특성과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1) : 장애아동재활지원서비스의 제공기..35페이지
-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자의 선택과 성과 간의 관계 : 서비스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참여를 중심으로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