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1993년과 2008년의 태도 비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통합교육연구 / 4권 / 1호
ㆍ저자명 : 정정진
ㆍ저자명 : 정정진
목차
Ⅰ. 서 론∏. 연 구 방 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그간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어느 정도 변화되었는지, 어떤 요인에 대해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으로는 15년 전 김명희(1993)의 특수학급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태도 연구와 같이 경인지역 초등학교의 일반교사 202명으로서, 이들 중 약 반수는 특수학급에서 교육받고 있는 학생이 배치된 통합학급 담당교사들이고 나머지 반 정도는 특수아동이 없는 일반학급 담임교사들이었다. 그 결과 첫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태도는 대체적으로 15년 전의 부정적인 태도와는 달리 긍정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시와 관련된 의견 또한 15년 전과 달리 결혼여부, 교직경력에 따라 몇 가지 제재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났을 뿐, 교사들의 종교별, 특수교육 경험유무, 성별, 특수교육에 관한 교육이나 연수, 특수교육에 관한 평소의 관심정도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수용적 태도는 15년 전과 달리 대부분의 교사집단들이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장애학생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일반교사들의 역할 수행방안들이 논의되었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change of elementary school general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between 1993 and 2008. The study which was selected by the criteria fo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1993.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2 elementary school general teachers(1/2 from general classes and 1/2 from inclusive classes) from Gyeong-In Districts from November 1 to December 5, 2008.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08 have been more positive than those in 1993 over all. Second,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on improving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were make comparison between 1993 and 200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of marriage, experiences of school field and others, and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among religion,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in-services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level of interesting in special education and so forth. Third, the receptive attitudes of many general teachers' groups among variables toward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more positive than that of 1993. Finally, some of general teachers' performance of role taking measures on activating inclusive education were suggested.
Key Words :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vironment of General School, Inclusive Classroom Teacher, Special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