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문화의 변동과 가치 갈등 : 탈물질주의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ㆍ수록지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19권 / 3호
ㆍ저자명 : 김욱
ㆍ저자명 : 김욱
목차
Ⅰ. 서론Ⅱ. 정치문화의 구조와 변동: 탈물질주의를 중심으로
Ⅲ. 탈물질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Ⅳ. 탈물질주의와 정치사회의 갈등 구조
Ⅴ. 요약 및 시사점
한국어 초록
2000년대 들어 한국 정치사회의 가장 커다란 변화 중의 하나는 정치적 균열(혹은 갈등) 구조의 다변화이다. 민주화 이후 절대적인 영향을 미쳐왔던 지역 갈등이 약화 혹은 변화하면서, 동시에 이념 갈등, 세대 갈등 등의 상대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의 기저에는 정치문화의 변동이 자리잡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탈물질주의적 가치(post-materialistic values)가 부상하면서, 기성 세대의 물질주의적 가치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적 가치관의 차이는 단순히 세대 갈등으로 표출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이념 갈등 및 지역 갈등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본 연구에서는 탈물질주의라는 새로운 가치의 부상을 중심으로 한국 정치사회의 갈등 구조를 경험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먼저 탈물질주의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연령이고,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은 학력이었다. 둘째, 탈물질주의적 가치의 부상은 한국의 갈등 구조에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젊은 세대와 기성 세대 간 정치적 갈등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정치이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다양한 갈등 구조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해 본 결과, 가치 갈등의 중요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물질주의-탈물질주의 차원의 가치 요인이 세대 요인, 이념 요인, 지역 요인 등에 비해 훨씬 더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치 갈등이 최근 한국 정치사회의 갈등 구조 변화에 기저에 자리잡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영어 초록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the Korean politics that we are witnessing today is the diversification of political conflicts. The regional conflict, which had been exerting an almost exclusive influence on the Korean political process since the late 1980s, has been weakened or transformed in the more recent elections of 2000s.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ideological and generational conflicts has steadily increased to the point that they can be compared with the regional conflict on the same terms. As a result, the conflict structure of Korean politics has been diversified.It is the basic presumption of this study that the main source of this political change (i.e., the diversification of political conflicts) lies in a change in the political culture.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ise of “post-materialism,” as opposed to materialism, among young Korean voters. This changing political culture, although it is not easily visible, seems to be the underlying factor largely responsible for the political phenomena that we are witnessing in recent yea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s of changing political culture on the diversification of political conflicts. Additionally, the study briefly discusses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findings for the future of Korean democracy.
참고 자료
없음태그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
- 광역경제권 정책의 평가와 이후 과제24페이지
- 한일 독도논쟁에 관한 효용이론적 해결책28페이지
- 험한 이웃들 속에서의 자율성 창출 : 한국의 대외정책 투쟁 28페이지
- 지적재산권 제도의 글로벌화와 미국의 지식 패권 : 생명공학의 사례 24페이지
- 접경지역에서의 국제적 협력 사례연구 : 유네스코 접경생물권보전지역을 중심으로 24페이지
- 국제금융체제의 문제와 동아시아 지역 금융협력의 의의 22페이지
- 일본 주요관청의 EPA 추진 전략 : 외무성과 경제산업성의 정책언설을 중심으로20페이지
- 발전하는 학문분야로서의 북한학18페이지
- 한국형 매니페스토 운동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장애요인과 실천적 대안 24페이지
- 한국인의 이지과정(理智過程)과 투표선택 : 제18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