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클라스 루만의 권력이론 : 소통수단으로서의 권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9
28P 미리보기
니클라스 루만의 권력이론  : 소통수단으로서의 권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19권 / 2호
    · 저자명 : 서영조, 김영일

    목차

    1. 머리말
    2. 루만 권력이론의 세 차원
    3. 루만의 권력이론의 이론적 특징
    4. 맺음말


    초록

    권력이 정치학의 핵심개념임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력에 대한 논의가 정치학으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오히려 권력에 대한 논의는 철학, 사회학과 같은 학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치학은 먼저 타학문에서 논의되고 있는 권력에 대한 논의를 배울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학자 루만의 권력이론을 내용과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정치학적 권력논의의 실마리를 찾는데 있다.
    루만의 권력이론은 대체로 세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이른바 ‘고전적’ 권력이론에 대한 비판이다. 루만은 특히 고전적 권력이 전제하는 인과론적 입장과 존재론적 가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둘째, 이러한 비판에 근거하여 루만은 권력을 억압 또는 강제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사회가 원활히 기능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커뮤니케이션매체로서 이해한다. 셋째, 루만은 권력을 부정성으로 인식함으로써 전통적인 권력개념에 접근하고 있다. 이 때 부정적이라 함은 권력은 행사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권력의 행사는 곧 권력의 ‘좌절’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루만의 권력이론의 이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권력을 억압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봄으로써 권력의 생산성을 강조한다. 둘째, 루만은 급진적 구성주의의 입장에서 권력을 “하나의 초주체적으로 건립된 체계의 정돈된 요소들을 가지고 행하는 분권적이고 그 규칙에 입각한 작동”으로 이해한다. 즉, ‘관찰의 관찰’의 결과로서 권력을 이해하는 구성주의는 개인 간의 상호작용에서 관찰되는 억압을 이론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지배와 복종의 코드로서 작동하는 권력의 사회적 기능을 다루고 있다. 셋째, 루만은 권력을 사회에서 또 하나의 체계인 정치체계에 고유한 매체로서 이해하고 있는데, 이는 권력의 기능의 축소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루만의 권력이론에는 소통으로서 권력과 부정적 제뢬 루만의 권이라는 이론적 긴장이 엿보이는데, 루만은 이를 권력과 권력수단을 구분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루만에게 있어서 권력은 억압의 수단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의 성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참여자들의 영리한 복종전략이다.

    영어초록

    No one can doubt power is a core concept of political science. Nonetheless, political scientists have averted their eyes from it. Rather it has been well discussed in such disciplines as philosophy and sociology. Under these circumstances, political scientists first need to learn all aspects of debates over power undertaken in other disciplines. This paper aims to find a clue for political-scientific discussion on power by introducing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power theory that a distinguished sociologist Luhmann provided.
    Luhmann's theory of power comprises three dimensions as a whole. First, a critique over so-called 'classical theory of power' in which Luhmann gives strong criticism against causal standpoints and ontological presumptions that the classical theory of power assumes. Second, based on this criticism, Luhmann understands power not as an instrument for repression and coercion but a communication medium necessary for the well-functioning of a society. Third, Luhmann accesses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power by perceiving it as negativity. Here, 'negative' means that power should not be exercised. The exercise of power means the frustration of power.
    Lumann's theory of power can be featured as below. First, he emphasizes the productivity of power by regarding power a communication instrument rather than an instrument for repression. Second, Luhmann, in the perspective of radical constructivism, understands power as “a decentralized and rule-based operation with a well-coordinated elements of a meta-subjectively constructed system.” That is, constructivism that considers power as ‘observation of observation’ does not adopt oppressions observe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but instead deals with a social function of power as a code of dominance and submission. Third, Luhmann views a power as an authentic form of medium in a political system which is another form of a system in a society. It means reduction in the function of power. Finally, there exists a theoretical tension between power as communications and power as negative sanctions in Luhmann's theory. He attempts to solve such a tension by separating power itself and means of power.
    In conclusion, power is not a simple means of oppression, but a smart strategy of submission that communication participants pursue for successful communications.

    Key Words: power, causality, ontological presumptions, symbolically generalized medium of communication, negative san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