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ㆍ수록지정보 : 학습장애연구 / 6권 / 2호
ㆍ저자명 : 김용욱, 이성환, 안정애, 이창섭
ㆍ저자명 : 김용욱, 이성환, 안정애, 이창섭
목차
Ⅰ. 서 론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별로 각 10개 초등학교를 표집한 후 학교별로 학습부진아 업무 담당교사 1명과 학습부진아 지도 교사(외부강사 포함) 1명씩 총 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업무 담당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학습부진아의 발생율은 2.42%에서 5.05%까지 나타났고, 읽기, 쓰기에 비해 수학영역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 진단평가 후 다양한 특별지도 형태로 일대일 지도가 이뤄지고 있으나, 표준화된 진단평가의 개발과 활용, 담임재량에 의한 특별지도, 여건마련과 학부모 반대, 운영경비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지도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지도계획 수립 시 학부모 참여가 미흡하였다. 실제 지도에 있어 표준화된 교재의 개발과 보급, 업무 부담 및 지도시간 확보, 학부모의 무관심 등에 의해 어려움을 겪는 반면 강사료 등 인센티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교사들은 현행 학습부진아의 지도체제와 각종 지원에 대하여 상당 부분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으며, 업무경감 및 인센티브 제공, 표준화된 교재와 교구의 보급, 보조 강사 등의 인적 지원, 교사 훈련 및 연수의 확충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부진아를 위한 지도체제의 적절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표준화된 진단평가, 지도교재의 개발과 보급, 학부모 참여, 담당교사들의 업무 경감과 다양한 지원 등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영어 초록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alities and teachers’ notions of underachiev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objective, sampling was made at 10 elementary schools from each of 16 school districts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of 320 people who were made up of 1 person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work for underachiever’s teaching per school and 1 teacher (including part-time teacher) in charge of that underachiever’s teaching per school. The analysis of the administrators’ replies showed that the rate of occurring underachievers was 2.42%~ 5.05%, and the rate was higher in math than in reading and writing. After diagnostic evaluation, one-to-one teaching in various forms is conducted, but still unsolved problems are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special education under the discretion of homeroom teachers, forming the environment for such education, parents’ objection, lack of operational expense, etc.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replie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The parents’ participation was insufficient in the course of planning the education: The lack of standardized textbooks, the burden of excessive other work, inappropriate work division and deficient teaching time, parents’ lack of concern: Insufficient incentives including insufficient lecture fee. Also the teachers expressed considerably negative opinions about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for underachievers and various support systems. At the same time, they called upon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more incentives, standardized texts and learning aids, human support including part-time teachers, more intensified teachers training and on-the-job training, etc. The outcom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esent system of underachiever’s teaching need to be reviewed as well as standardized diagnostic evaluati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ppropriate textbooks, participation of parents, the decline of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and various supports.Key words: realities of underachiever education, teachers’ n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