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직자의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30P 미리보기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직자의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사회복지연구 / 2권 / 1호
    · 저자명 : 권기성, 김경희

    목차

    Ⅰ. 서 론
    Ⅱ. 부모양육태도와 조직행태의 관한 이론적 배경
    Ⅲ. 부모양육태도와 조직행태와의 관계
    Ⅳ. 부모양육태도와 조직행태와의 관계에 대한 검증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논문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해 보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공직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아동기 때의 부모의 양육태도가, 개인적 특성과 조직내 인간관계 전개방식에 있어서 어떻게 발현되는가를 살펴보고,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통계적방법을 사용하였다. 본청과 구청에 근무하는 안산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직자44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개인적 특성간의 관계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을 애정적 태도, 적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의 네 가지 양육태도로 분류하고, 이들 유형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 양육태도와 조직내 인간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조직내 인간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태도와 통계적 태도는 조직내 인간관계가 낮게 나타났다.셋째, 개인적 특성이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이 높으면 직무만족이 높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으면 직무만족이 낮았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놓으면 조직몰입도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으면 조직몰입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조직내 인간관계가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좋으면 직무만족이 높았고,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약하면 직무만족이 낮았다. 또한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좋으면 조직몰입도 높게 나타났고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약하면 조직몰입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양육태도가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의 집단들은 직무만족이 놓게 나타났고, 적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를 지닌 집단들은 직무만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고, 적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조직몰입이 낮게 나타났다.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적 특성은 조직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개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놓게 나타나고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조직행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 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무원 개인적 특성이, 조직내 인간관계 즉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 분석에서도 매우 유의한 수준의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부모의 양육태도가 조직내 인간관계에 유의한 수준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 공무원이 성장당시 부모의 양육태도는 적대적 태도보다는 애정적 태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고 부모의 통제보다는 자율성을 인정받고 성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행정공무원의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책임감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고 조직내 인간관계인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도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조직행태에 대한 분석에서도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모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부모양육태도, 즉 자녀에게 친밀감과 믿음, 따뜻한 마음의 공유, 자율성과 존엄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였고, 적대적이고, 통제적인 부모양육태도, 즉 자녀에게 무분별한 분노표현과 무시하는 태도, 적대적 감정 및 불신감과 권위적 태도 및 거부적인태도는 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 같은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다.
    첫째, 행정기관 공직자의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의 요인을, 부분적으로 밝힘으로써 공직사회의 인간관계에 대한 새로운 방향이 제시되었다고 본다. 셋째,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직무성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구성원의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부모양육태도가 성인기의 대인관계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 이들이, 조직성과의 요인임을 부분적으로나마 밝힘으로써 행정학에 새로운 방향을 시사하였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ehaviors towards an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to the way their parents raised them. I tried to find out how their parents' raising way influences the individual characters, the human relationship, the satisfaction, and the devotion in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이 this study, frist, I set up a hypothesis; second, I surveyed the result from the questionnaire to verify it on the basis of the data on the 442 public officials who work at the city hall and the community center in Ansan; third, I used the SPSS program and the analysis of mutual rel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the data analysis, the hypothesis is prov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 of their parents' raising way and their personal characters is this. The way their parents raised them is divided 4 ways-devotion, hostility, autonomy, and regulation. The results from devotion and autonomy show high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but those from hostility and regualation show low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Second, the relation of their parents' raising way and their human relationship in a group is this. Those groups who were exposed to devotion and autonom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but those who were exposed to hostiolity and regulation don't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Third, the influence of rersonal characters on the organization is this. The public officials have high satisfaction at their work of they have high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Comparatively, the public officials who have low self-esteem and low self-regulation, they have low satisfaction at their work.
    Fourth, the influence of the human relationship on the organization is this. The public officials have high satisfaction and devotion if the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eniors, colleagues, and subordinates. Otherwise, if they have a weak relationship with them, they have low satisfaction and devotion at their work.
    Fifth, the relation of their parents' raising way and the organization is this. The public officials have high satisfaction and devotion if they were exposed to devotion and autonomy. If they were exposed to hositility and regulation, they had low satisfaction and devotion at their job.
    It is proved that the personal characters of the members of the group affect the organization strongly. It is also proved that the way their rarents raised them affects the personal character. Therefore I can suggest that the way parents raised children affects the organization strongly.
    In addition to that, the personal characters of each public official highly affect the human relationship such as the relationship with seniors, colleagues, and subordinates in a group. I know that the way their parents raised them strongly affects the human relationships in a group.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behavior toward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엳 새 the way their parents raised them, I used the dispersion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and mutual relation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ublic officials in Ansan grew up with an affective and autonomous attitude. I find that the public officials who lived with positive parents are satisfied and with their work, and have high self-esteem, self-control, responsibilyty, and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enior and colleagues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rents' raising attitude has a meaningful influence. The children whose parents have an affectionate and autonomous attitude-love, trust, autonomy, and respect-, have a intimate relationship and loyalty and satisfaction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whose parents have a hostile and negative attitude-hatred, distrust, threat, and contempt-, have a defiant and disdainful attitude and disatisfaction with each oth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suggest these facts to us as follow:
    First, these results can provide us with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manpower management of the public officials. Second, these results can show the principal factors in forming human relationship, and so they propose a new vision about human relationship in the public organization. Third, this study can vitalize future investigations on human relationshi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Also, from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e influence which parents' attitude has on children's satisfaction and devotion as adults. Therefore this study can suggest a new direc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사회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