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시민성교육 모형 정립 및 방향 설정 : 자유주의 철학에 기초하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13권 / 2호
ㆍ저자명 : 정호범
ㆍ저자명 : 정호범
목차
Ⅰ. 들어가는 말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시민성교육에 접근하는 두 관점
Ⅳ. 한국의 전통 문화와 시민성교육
Ⅴ. 바람직한 시민성 교육의 접근방향 탐색
Ⅵ. 맺음말 : 한국의 시민성교육 모형 정립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유교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집단적 적합성 추구 경향과 근래에 서구 자유주의 사상의 유입으로 타나난 개인적 적합성 추구 경향이 공존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서의 시민성교육의 접근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서구로부터 유입된 자유주의적 사회ㆍ문화와 한국의 전통적 사회ㆍ문화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배제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나타나는 충돌을 극복할 수 있는 시민성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시민성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자유주의는 개체성ㆍ자율성ㆍ합리성이라는 특성을 갖는 개인들을 전제하는 개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로부터 다원주의ㆍ상대주의ㆍ중립주의라는 가치론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한국사회에는 전통적 유교문화에서 비롯된 집단주의ㆍ권위주의 간섭주의 등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유주의에서 추구하는 시민성교육의 접근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자유주의에서 추구하는 시민성에는 많은 효율성이나 장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한계나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한계나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을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서 서구의 자유주의 문화와 한국의 전통문화 사이의 충돌을 극복하고 서로의 장점을 수용하는 바람직한 시민성교육의 접근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즉 다원주의의 수용과 상대주의의 한계 극복, 개인적 적합성과 집단적 적합성의 상호성 수용,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구분과 조화 유지,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요구되는 민주시민적 자질의 설정과 육성이 그것이다. 한국의 시민성교육에서 요구되는 시민적 자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바람직한 삶 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준법정신, 협동정신, 바람직한 정치참여 능력.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are formation of model and approach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focused on Liberalism. Liberalism and confucianism(or Korean traditional culture), which
are philosophical grounds to make possible different goals and cont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Liberalism explains the relation of individual to society with its priority of individual to
society. It is possible on the basic assumption of individual’s individuality, rationality and
autonomy. The individual identity is not changed by the fact that the individual is belong
to a certain society. According to the explanation of individual and society in liberalism,
citizenship education is meaningful when it improves the ability of individual's reasonable
and rational thinking. On the contrary, Korean traditional culture(or confucianism) explains
the relation of individual to society with its priority of society to individual.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or confucianism) emphasize community rather than individual. Regarding
this, citizenship education need to have more concern about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concerned not only about confirmation that there are
different viewpoints (individualistic approach & confucian approach) to citizenship and
these viewpoints are crucial to decide goals and cont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but also
about affirmation that these viewpoints are not antagonistic, but supplymentary
relationships. Therefore, I emphasize the citizen skill in Korean citizenship education as
follows: ①wholesome management of self life, ②rational decision-making skill, ③the spirit
of obeying laws, ④cooperative sprit, ⑤sound participation skill in public affairs.
참고 자료
없음"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현행 국가교육과정체제의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16페이지
- 사회과교육에서 IPSO기법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방안23페이지
- 사회과 수업에서 ‘탐구의 의미’20페이지
- 탈북 청소년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비교 연구27페이지
- 초등학생의 역사 쟁점 인식의 양상23페이지
- 중국의 ‘민족문제’ 인식과 고구려ㆍ발해사의 취급 변화 : 역사 교육과정 서술변화를 중심으로26페이지
- 수행평가 전제들과 초등 교사의 인식간의 정합성 분석을 통한 사회과 수행평가의 함의23페이지
- 사회적 역할 모형에 기초한 경제교육과정의 내용 체계27페이지
- 사회과 협동학습이 민주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35페이지
- 사회과 교수ㆍ학습에서 인식론적 신념의 역할 논의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