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13권 / 2호
ㆍ저자명 : 이종일
ㆍ저자명 : 이종일
목차
Ⅰ. 머리말Ⅱ. 사회수업에서 ‘탐구의 의미’
Ⅲ. 사회탐구와 비판적 사고
Ⅳ. 비판적 사고하기의 실례
Ⅴ. 사회탐구와 사고 기능
Ⅵ. 맺음말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사회과 탐구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대상 곧 탐구의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사회과 수업이 탐구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소개된 제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이다. 탐구수업이 현장에 도입된 지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탐구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주된 대상이 무엇인가를 교사들에게 질문하면 그다지 명쾌한 대답을 하지 못한다.주지하다시피 ‘탐구 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대상’을 사회현상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의 과정과 기능이다. 이 점에서 보면 교사가 사회탐구 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대상은 특정 개인에 한정된 ‘창의적 사고’라기보다는, 탐구를 할 때 누구에게나 요구되는 ‘비판적 사고’에 가깝다. 이처럼 사회탐구 수업에서 ‘탐구의 의미’를 비판적 사고로 보면, 이러한 ‘비판적 사고하기’ 능력이 어디에서, 어떻게 얻어질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한 답이 필요하다.
이에 필자는 교실 수업에서 길러져야할 ‘탐구의 의미’는, 탐구 과정 곧 탐구절차의 기계적인 익힘에서 찾기 보다는 구체적인 탐구 사례분석에서 그 요인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우수한 탐구사례 분석을 토대로, 필자는 탐구하기를 ‘추론하기․분류하기․자료 해석하기’와 같은 기능을 반복적으로 연습함으로써 학습자가 얻게 되는, 사회과 ‘교과의 기본적 구조’로 보았다. 여기서 ‘사회과 교과의 기본적 구조’란 사회과 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탐구이며, 동시에 브루너가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강조했던 교과내용이라 할 수 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inquiry which has to be taughtin social studies class. The idea that social studies has to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inquiry begins with the 3rd National Curriculum. It is a long time since social inquiry
lesson was introduced to school. However, teachers do not have clear-cut answers to the
questions what has to be taught in inquiry class.
In this study I propose what has to be taught in inquiry class should be the process
and skills of systematic and reasonable thinking on social phenomena. Then what has to
be taught in social inquiry class is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creative thinking. The
question how to get the ability of thinking critically has to be answered to.
My opinion is that the inquiry which has to be taught in class begins with the specific
analysis of inquiry examples rather than with the acquisition of inquiry procedure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good inquiry examples, I conclude inquiry is the basic
structure of social studies which can be gained by the repeated practice of such skills as
reasoning,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data. This basic structure of social studies is the
inquiry which has to be taught in social studies class and the subject contents of which
importance Bruner emphasized in the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참고 자료
없음"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현행 국가교육과정체제의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16페이지
- 한국의 시민성교육 모형 정립 및 방향 설정 : 자유주의 철학에 기초하여 25페이지
- 사회과교육에서 IPSO기법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방안23페이지
- 탈북 청소년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비교 연구27페이지
- 초등학생의 역사 쟁점 인식의 양상23페이지
- 중국의 ‘민족문제’ 인식과 고구려ㆍ발해사의 취급 변화 : 역사 교육과정 서술변화를 중심으로26페이지
- 수행평가 전제들과 초등 교사의 인식간의 정합성 분석을 통한 사회과 수행평가의 함의23페이지
- 사회적 역할 모형에 기초한 경제교육과정의 내용 체계27페이지
- 사회과 협동학습이 민주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35페이지
- 사회과 교수ㆍ학습에서 인식론적 신념의 역할 논의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