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한 SART(자기주동형 이완훈련) 병행 동작훈련의 신체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4
- 최종 저작일
- 2006.01
- 10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ㆍ수록지정보 : 발달장애연구 / 10권 / 2호
ㆍ저자명 : 권경욱, 황경열, 용홍출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SART를 병행한 임상동작훈련이 뇌성마비아의 앉기, 무릎서기, 서기 자세에서의 신체조절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7세의 남자아이로서 우측 뇌의 성장이 지체된 것으로 진단을 받은 아동이다. 임상동작법 집중훈련의 과정은 2004년 3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주 5회 훈련으로 이루어졌으며 1회기의 시간은 40분이었다. 각 회기의 구성은 초기 약 20분 정도는 이완과제로서 SART를 실시하였고, 후반부 20분 정도는 수직계의 과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SART 과제는 상체 이완과 하체 이완을 차례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뇌성마비아동의 외부반응에 대응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앉기 자세에서 아동에게 나타났던 G패턴이 감소하면서 상체 제어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무릎서기를 통해 고관절 긴장과 상체의 불필요한 긴장이 감소하였다. 넷째, 서기의 훈련을 통해 신체를 지면에 수직되게 세울 수 있는 자세제어 능력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고관절의 긴장이 이완됨으로써 혼자 걷기를 할 수 있게 되었고, 걷는 동안 생기는 긴장을 스스로 통제하여 몸의 중심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pilo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sahou with SART(Self Active Relaxation Therapy) on regulation ability of sitting, rising on the knees, and standing of a cerebral palsy. The subject was a 6 years child who was diagnosed as statement of retardation of right brain. Dosahou intensive training was progressed 5 sessions per week from May 2004 to July 2006 which carried out about 40 minutes. Each sessions were consisted of two stages which include a initial stage of 20 minutes SART as relaxation tasks and 20 minutes tate style tas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it was improved in a ability of response to external stimulus of a cerebral palsy. Second, it was decreased G pattern of the child and improved in child's control ability of the upper body in sitting posture. Third, through a training of the rising on the knees, it was decreased a tension of a coxa(hip joint) and the upper body. Forth, through a training of standing, it was improved posture control ability for standing. Fifth, through a relaxation of child's coxa, the subject could be walked by self, and balances one's body. Finally, it was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참고 자료
없음
"발달장애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