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脫)학습의 도덕교육적 의의 : 목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ㆍ저자명 : 지봉환
ㆍ저자명 : 지봉환
목차
Ⅰ. 문제의 제기Ⅱ. 현행 도덕과 교육 목표의 특징
Ⅲ. 도덕과 목표설정과 탈학습
Ⅳ. 결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더하기’교육과 ‘빼기’교육 간의 조화를 위한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은 기존의 도덕적 지식 위에 새로운 도덕적 지식을 더하는 ‘더하기’ 중심의 도덕교육이 주류였다. 도덕교육은 도덕적 행동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덕적 지식 뿐 아니라 도덕적 행동을 저해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제거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도덕교육은 도덕적 지식교육과 함께 학습자가 안고 있는 도덕적 행동에 장애가 되는 장애요인을 찾아 조절하고 제거하는 ‘빼기’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즉 지금까지 행해왔던 도덕적 지식의 ‘더하기’ 교육과 도덕적 장애요인에 대한 ‘빼기’교육의 상호 조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오랜 동안 바른 도덕성 함양을 위해 노력해온 도덕교육이 심하게 질타 받고 있는 것은 더하기 중심의 편협한 교육이 빚어낸 결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하기’ 중심 교육의 지속은 손상된 도덕교육의 회복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될 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제는 도덕교육에서 ‘빼기’ 교육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마땅하다고 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탈학습’의 이론을 토대로 도덕교육에 있어 ‘빼기’교육의 원리를 제시하고 ‘탈학습’의 원리를 토대로 하는 목표설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안한다.영어 초록
This study attempts the harmony of, what I call "plus and minus education". Until now, moral education has centered on "plus education" which teaches only much moral knowledge. This causes much difficulty achieving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For example, people don't put them into action even though they have learned lots of good things through their teachers. For this reason, we need to restraint "plus-centered education", and should think there will be something we don't put much moral knowledge into action and should have much concern for it and should remove the unnecessary obstacles which moral knowledge is not connected into moral actions in moral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emphasizes moral education, not as education eliminating it. That is, it means necessity of the harmony of "plus and minus education", and we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plus-centered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도덕윤리과교육"의 다른 논문
-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소학 활용 방안 연구24페이지
- 도덕과 수업에서 이야기 교육의 의의와 한계24페이지
- 초등학교의 통일교육 현황과 과제26페이지
- 사이버 공간에서 친사회적 행동이 갖는 도덕교육적 함의26페이지
- 도덕 판단력 측정도구 MJT의 특징과 활용법38페이지
- 삼봉 정도전 사상의 사회 윤리적 함의24페이지
- 유가의 예악(禮樂) 사상에서 악(樂)의 문제18페이지
- 초등 도덕과 교육 목표의 개선 방향 탐색22페이지
- 한국 도덕과 교육의 방향 :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일고찰28페이지
- 도덕과 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연구 과제3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