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ㆍ저자명 : 정창우
ㆍ저자명 : 정창우
목차
Ⅰ. 서 론Ⅱ. 도덕과 교육의 평가 현황과 문제점
Ⅲ. 도덕과 평가 영역의 개선을 위한 향후 연구 과제
Ⅳ.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 평가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도덕과 평가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복잡 다양한 문제들을 몇 가지 형태로 범주화한 후,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향후 도덕과 평가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향후 연구의 방향성과 관련하여 ① 도덕과 평가의 본질과 방향성에 대한 이론적 기초 연구’ 차원에서 ‘도덕성 평가와 도덕과 학업 성취 평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 ② 평가 기준 설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입체적 평가 준거’ 설정 및 ‘이원목적 분류표’에 대한 연구, ③ 도덕과 교사가 평가 주체가 되어 학생들의 능력이나 태도를 평가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도덕과 평가의 기본 절차’에 관한 연구, ④ 도덕적 인간 형성을 위해 중요한 정의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 ⑤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학습자 중심 채점기준표(rubrics)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연구, ⑥ 도덕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평가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categorize several problems, and then, establish crucial directions of the evaluation area in moral education. Especially, with respect to directions of the evaluation area in moral education,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 studies on the relations of morality measurement and schoolwork-achievement evaluation in moral education, ② studies on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criterion for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tandards, ③ studies on a general procedure of moral education evaluation, ④ studies on methods for evaluating in the area of affective domain in moral education, ⑤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udent-generated rubrics for improving objectivity and fairness of evaluation, and ⑥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achers' capability and literacy in the field of the evaluation.참고 자료
없음"도덕윤리과교육"의 다른 논문
- 탈(脫)학습의 도덕교육적 의의 : 목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28페이지
-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소학 활용 방안 연구24페이지
- 도덕과 수업에서 이야기 교육의 의의와 한계24페이지
- 초등학교의 통일교육 현황과 과제26페이지
- 사이버 공간에서 친사회적 행동이 갖는 도덕교육적 함의26페이지
- 도덕 판단력 측정도구 MJT의 특징과 활용법38페이지
- 삼봉 정도전 사상의 사회 윤리적 함의24페이지
- 유가의 예악(禮樂) 사상에서 악(樂)의 문제18페이지
- 초등 도덕과 교육 목표의 개선 방향 탐색22페이지
- 한국 도덕과 교육의 방향 :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일고찰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