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사향미술교육논총
ㆍ저자명 : 김흥숙, 이창림
ㆍ저자명 : 김흥숙, 이창림
목차
1.들어가는 말2.단계적 입체표현
3.단계적 입체표현 수업의 실제
4.맺는말
한국어 초록
학생들에게 입체표현은 공간개념을 이해하고 물성을 놀이형식으로 탐구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다. 학생들이 사물의 개념을 이해하고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반복과 기억에 의한 학습보다는 놀이적인 요소를 통해서 이루어질 때 효과적이다(Strosberg, 2002: 31). 그러나 입체표현이 놀이의 형식을 취한다고해도, 입체표현은 학생들이 내적인 이미지를 평면에서 공간으로 전환하는 복잡한 사고 과정에 의하며 물성을 이해해야 가능한 활동이므로 단순한 활동은 아니다.미술교육에서 입체표현은 필요한 재료와 용구의 기능을 이해하고 공간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평면표현과는 다른 영역을 습득해 나갈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체표현의 교육적 의의를 살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입체를 성공적으로 표현해가는 과정의 경험을 통한 입체표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입체는 평면과는 달리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므로 공간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학생들 스스로 창작을 통해 입체표현의 특성을 이해해야만 하는데, 이 과정을 단계적으로 접근했을 때 교육적 효과를 살리는 하나의 수업 방안이 될 수 있다. 이것은 평면표현에서도 마찬가지고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할 요소이다.
영어 초록
The significance of three-dimensional Art making education is students understand spatial conception and a property of matterThe requirement of process of three-dimensional Art making is for the student do it successfully.
For the three-dimensional Art making, students have to draw their thinking in the plane with the rough sketch and make it in three-dimensional. This process is so complicated. Also students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the tool which is various suitable for a subject.
The process of three-dimensional Art making is expression plan, expression process and expression result. This is the process which is necessary even from general fine arts expression activity. Students do their three-dimensional Art making based this process and know the process in each study aim
The process of three-dimensional Art making study accomplishes the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of the students. It is one of the way, and the study plan which is various must be groped
참고 자료
없음"사향미술교육논총"의 다른 논문
- 다매체순환표현을 통한 11세 전후의 미술표현 위기 극복에 관한 연구21페이지
- 분청사기 이해지도에 관한 연구22페이지
- 감상능력 신장을 위한 미술관 활용 방안 연구34페이지
- 미술교과서 시각디자인 표현 영역 분석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중심으로21페이지
- 초등 미술교육과정에서 시각문화 수용에 관한 고찰25페이지
- 후기회화에 나타난 ‘보태니컬아트’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22페이지
- 어린이 미술에 나타난 상징의 이해와 그것의 교육적 의미 연구 39페이지
- 아동화에 대한 인지과학적 분석과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16페이지
- 정서지능 신장을 위한 학습 모형 연구18페이지
- 기호학에 의한 미술작품 읽기에 관한 연구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