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아동을 위한 Compensatory Assessment의 실제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5.03.24
- 최종 저작일
- 2005.06
- 2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ㆍ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21권 / 1호
ㆍ저자명 : 홍성계
목차
1. 확대 교육 과정의 유래와 의의
2. 확대 교육과정의 종류
3. 보상 평가의 정의
4. 보상 평가 도구의 적용
5.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우리나라에서의 시각장애 교육은 양적 질적인 면에서 커다란 발전을 보였다. 전체적인 교육의 수준분만이 아니라, 각 아동의 교육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의 수립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상당한 수준에 오른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한 가지 아직까지 부족한 면을 굳이 찾아야한다면, 바로 평가가 될 것이다. 각 아동의 요구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시각장애, 중복 장애의 유무, 장애로 인한 경험의 손실 여부, 그리고 수반 발달 지체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게 된다. 정형화된 프로그램들이 이렇듯 다양한 요구들을 모두 만족시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제시한 방법이 시각장애 아동으로서 갖고 있는 독특성을 확대 교육 과정이라는 형태로 정리하고, 이를 각 영역별로 검사함으로서, 아동이 어떠한 특징과 어려움을 갖고 있는지 알게 됨으로서, 교사들이 아동에게 보다 적절한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는 발판이 마련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하루 빨리 이러한 세부 영역에서의 평가 도구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영어 초록
In Korea, education for vision-impaired people has made a marked development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Overall education levels have improved, and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aimed at maximizing each child's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upgraded significantly. Nonetheless, there is one area in which such efforts are lacking, namely, evaluation. Children's needs can vary widely according to their vision impairment, duplicated disability, loss of experience due to disability, and retarded development. Formatted programs would not easily satisfy all such diverse needs. To improve the situation, the US implements an expanded curriculum aimed at catering to particular needs of vision-impaired children, thereby examining their individual disability and determining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y. This has helped teachers provide more appropriate education services to students in the US, and Korea needs to develop tools to evaluate these detailed areas.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