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목표와 사고기능목표를 제시한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42권 / 4호
ㆍ저자명 : 이미숙, 양용칠
ㆍ저자명 : 이미숙, 양용칠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 가설
IV.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사고력은 아동기에 주로 발달되기 때문에 학교에서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사고 기능을 그들에게 외현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내용목표와 함께 사고기능목표를 제시하여 수업을 전개하였을 때 아동의 사고력 개발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 2학년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30명씩 선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내용목표와 사고기능목표를 함께 제시하여 학습 내용의 습득에 적절한 사고기능을 활용하는 수업을, 통제집단은 종전처럼 내용목표만을 제시하여 내용을 설명하는 수업을 각각 실시하였다.그 결과, 사고기능검사와 학업성취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성적이 통제집단의 성적보다 통계적으로 공히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 내용의 습득은 사고 활동을 통해서 이뤄지며, 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고기능을 활용하도록 외현적으로 강조하는 수업이 학생들의 사고력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다. 사고기능목표를 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할 내용에 적절한 구체적인 사고기능을 밝히고, 이것을 교수-학습과정에 적용하는 전략 개발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current presentation of content objectives and thinking skills objectives on students' development of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s. Sixty second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Each group has 30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content objectives and thinking skills objectives at the same time during class for 5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ith only content objectives. Independent sample t-tests are conducted to test mean differences in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s between two groups.First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scores on the thinking skills measure than the control group did. Second, the former also had greater scor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han the latter did. These results mean that instruction which teachers concurrently presented content objectives and thinking skills objectives to students on class sess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at which teachers presented only content objectives to them.
It shows that instruction into which the confused approach to content and thinking skills is helpful for developing students' thinking skills in the elementary school settings.
참고 자료
없음"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마음교육론’의 학문적 성격과 전망33페이지
- Nietzsche 해석학의 교육적 의미30페이지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을 고려한 현직교육 모형 개발32페이지
- 일상적 창의성과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의 관계21페이지
- 초등학생의 학교 밖 학습행위와 학습문화의 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30페이지
- 학업성취도에 대한 창의성의 상대적 예측력 26페이지
- 대학교수개발의 주요지표 분석과 교수개발에 대한 평생학습원리 적용의 기대효과37페이지
- 통일신라시대 견당유학생(遣唐留學生) 연구20페이지
- 미국 수학 과학 영재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인성 및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22페이지
- 유아교육의 신교육사회학적 접근 : 미시적 비판적 접근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