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 수강명령 대상자를 위한 RET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ㆍ수록지정보 : 임상사회사업연구 / 1권 / 1호
ㆍ저자명 : 조미숙
ㆍ저자명 : 조미숙
목차
1. 서 론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가정폭력은 심각한 사회 문제의 하나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가정폭력에 개입하는 대응방법은 피해여성들을 보호하고 상담 및 교육 등의 원조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고 폭력을 행사한 가해자에 대한 개입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해왔다. 가정폭력에 대한 법적 처벌의 근거가 마련된 이후 가정폭력에 대한 법정명령 프로그램들이 점차 확대, 시행되면서 민간기관들의 관심이 고조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가해자들의 마음을 변화 시키며, 구타행동을 예방하도록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 RET는 인지치료중심의 접근을 시도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 가해자 10명을 대상으로 총 50시간의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설계는 동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역기능척도(비합리적 인지상태), 폭력에 대한 인식을 집단 개입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고 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통계분석인 Wilcixon Signed Rank Test를 활용하였다. 특히 가정폭력 가해자의 행동에 대한 관찰은 직접 대상자들의 문제인식에 대한 주관적 생각과 그에 대한 해결책,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후에 가지는 소감에 대한 기록을 종합하여 그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임상실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수강명령대상자들의 접근에 있어서 인지요법중심의 치료전략들이 현실에 맞게 수정, 보완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가정폭력 가해자들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개입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선과 관련하여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간의 사후지도 기간과 함께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 초록
In this study an Rational-Emotive theraphy centered attempt has been made to reflect various kinds of existing model for intervening in family violence in organizing programs in order to change one's mind and prevent battering behaviors of assailant.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active enforcement of judically ordered programs by organizing and conducting cognitive theraphy centered group programs to intervene in family violence assailant and then analyzing their effects. In order to do so, group programs for total fifty hours for 10 family violence assailant have been conducted, and the indentical group preliminary and post factum plan has been applied as the reserch plan. As a research method, Disfunction Attitude Scale, perception of violence and have been measured prior to and after group intervention,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method, has been appl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aticular, in case of measure of family violence assailant behavior, it has been attempted to evaluate the recorded that they have written one's oppions about their problem, that they have felt the felling after completion of programs.key words : family violence assailant, Rational-Emotive theraphy, Disfunction, irrational Attitude Scale, Perception of violence
참고 자료
없음"임상사회사업연구"의 다른 논문
청소년 자살행동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과의 관계19페이지
노인 의료보장의 과제14페이지
사회복지 실천에서 옹호의 명분 확인 및 이론적 개념 정립29페이지
노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21페이지
해외입양인의 뿌리찾기에 관한 논점과 과제12페이지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의 생태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22페이지
노인인력지원기관의 훈련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16페이지
자원봉사와 노인일자리 사업의 역할정립을 통한 활성화방안12페이지
노인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를 위한 실천적 방안모색20페이지
치매노인의 사회적응력 강화를 위한 집단사회사업 사례연구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