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계 새만금 갯벌의 수질 분포 및 지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4.01
15P 미리보기
하계 새만금 갯벌의 수질 분포 및 지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6권 / 1호
    · 저자명 : 박경수, 박승윤, 이삼근, 이윤

    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감사의글
    참고문헌

    초록

    전북 군산 및 부안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새만금간척공사 수역과 그 주변 해역의 수질 및 저질 분포 특성을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 9월에 총 101개 퇴적물 시료와 69개의 해수 시료를 채취, 분석하였다. 주요 수질 항목별 평균 및 표준편차는 수온 25.51±0.68℃, 염분 29.88±5.01psu, COD 1.40±0.78 mg/L, 용존무기질소 (DIN)0.352±0.417 mg/L, 그리고 인산인 0.027±0.023 mg/L 이었다. 영양염류 및 COD는 동진강 및 만경강 하구에서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곰소만과 새만금 입구 수역은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COD, 영양염류 농도 및 N/P 등은 염분과 유의적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오염 물질이 육상 기원임을 시사하였다. 주성분 분석에 의한 수질 분포 역시 새만금 수역으로 유입되는 지류에서 높은 영양염류 및 유기물 농도를 보여 타 수역에 비하여 수질오염도가 높았다. 퇴적물의 경우 주요 중금속류 및 일반저질항목별 농도는 알루미늄 2.28±0.92%, 카드뮴 0.61±0.27 ppm, 구리 8.95±4.06 ppm, 철 1.19±0.37%, 망간 182.31±77.45 ppm, 니켈 10.83±4.97 ppm, 납 15.20±4.35 ppm, 아연 41.34±34.62 ppm, COD 2.68±1.85 mg/g dry, AVS 0.04±0.08 mg/g dry, 강열감량 1.29±1.08%, 함수율 24.11±4.49%, 총질소 0.02±0.02% 그리고 총탄소 0.22±0.30% 이었다. 저질의 공간 분포 특성은 수질처럼 명확하지는 않았으나, 금강하구 수역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저질 항목별 상관관계는 중금속과 유기물함량 간에 유의적 관계가 있었으며 (p<0.05), 퇴적물내의 농축비 (enrichment factor)가 대부분 수역에서 1-2의 범위를 보여 중금속의 외부 유입이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퇴적물 내의 중금속 농도 역시 일반적인 해양 퇴적물에서 검출되는 범위 이내로 새만금 및 주변 수역의 저질 상태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Environmental quality(water and sediment) was analyzed in the tidal flat of Saemangum of
    Jeonbuk Province, the west coast of Korea, using the 101 sediment samples and 69 water samples
    collected in September 4~13, 2001. Major water quality parameters with the means of 69 surface
    water samples are as follows; 25.51±0.68 ℃ for water temperature, 29.88±5.01 for salinity, 1.40±
    0.78mg/L for COD, 0.352±0.417mg/L for DIN, and 0.027±0.023mg/L for phosphate, respectively.
    Higher values were found at the subestuary of Dongjin and Mangyung River, and lower values at
    the Saemangum embayment and Gomso Ba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alinity and the other water quality parameters(p<0.0001) such as COD, nutrients, SS and N/P. This
    correlation suggested that the major pollution sources be from terrestrial inputs through tributaries
    in this a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learly revealed a spati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stations with higher values of nutrients and COD located subestuary of tributaries. 14 sediment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8 trace metals were measured using the 101 surface sediment samples.
    Average values for the parameters are as follows; Al 2.28±0.92%, Cd 0.61±0.27 ppm, Cu 8.95±4.06
    ppm, Fe 1.19±0.37%, Mn 182.31±77.45 ppm, Ni 10.83±4.97 ppm, Pb 15.20±4.35 ppm, Zn 41.34±
    34.62 ppm, COD 2.68±1.85 mg/g dry, AVS 0.04±0.08 mg/g dry, IL 1.29±1.08%, water content 24.11
    ±4.49%, TN 0.02±0.02%, TC 0.22±0.30%. Spatial variations of sediment quality were not clear as
    water quality. Some higher values were found at the subestuary of Gum River and lower values at
    the other area.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and organic materials within the sediment(p<0.05). Enrichment factors showed the ranges of 1~2
    for most of the metals in the sediment except zinc(1~6), indicating no serious exogenous input of
    heavy metals in the study area. Also,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ediment were within
    the ranges found at the natural marine environ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습지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