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총제적 이론(Okologischer Ansatz)에서 본 한국의 정신지체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교육적, 사회적 조력방안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1997.01
22P 미리보기
총제적 이론(Okologischer Ansatz)에서 본 한국의 정신지체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교육적, 사회적 조력방안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발달장애연구 / 1호
    · 저자명 : 최경희

    목차

    I.총체적 이론의 체계가 특수교육에 주는 의미
    II.한국의 정신지체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적, 사회적 도움
    III.교육적. 사회적 조력을 위한 총체적 이론의 원칙과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논문은 80년대 이후 예전의 독일연방공화국의 특수교육, 특히 정신지체교육학(Geistig- behindertenp dagogik)의 이론과 실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총체적 이론( kolo- gischer Anzatz)이 한국의 정신지체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들의 질적인 교육과 좀더 나은 사회적 조력에 어떠한 의미를 주며, 이 이론의 어떠한 원칙과 방안이 한국의 특수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지를 조사·연구한 논문이다. 총체적 이론은 교육적 숙고와 행위의 초점을 부분(Teil) 즉 '손상(장애)' 혹은 '개인'에서 전체 즉 '환경 안에서의 특수한 교육적, 삶의 욕구를 가진 全人間(das Ganze des Menschen mit speziellen Erziehungsung Lebensbedurfnissen in seiner Lebenswelt)'과 그가 몸담고 살아가는 삶의 환경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전인간과 삶의 현장을 파악하는 이론적 체계이다.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총체적 이론의 연구를 통해 우리의 특수교육과 그것을 있게 한 한국적 사고를 알게되었다는 것이다. 전체성에 대한 사고, 사회의 관계성, 인간의 자율성 혹은 각 개체(조직)의 자율성이 한국적 사고와 특수교육현장 안에서 재검토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인식 안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전체성, 관계성을 재발견·재정립하고 우리에게 미흡한 인간(개체)의 자율성을 보완한다면 아동과 청소년들이 좀 더 나은 교육적·사회적 도움을 받으며, 그들이 이 사회를 진정한 oikors(집)로 느끼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cological theory on the quality education of the mental retardation child and adolescence, the meaning of social assistance, and the probability of application in Korea. The ecological theor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specially mental retardation pedagogics at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n 1980's.
    The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behavior of ecological theory focused on moving change from partial view, that is, handicapped individual to holistic view, that is, 'the holistic man having the need of special educational life within his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systemical theory stand holistic human and life field.
    The great product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our real situation of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and Korean thinking to be that, It was reexamined thinking of the holistic view, social relationship, and human autonomy (or individual autonomy)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and Korean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달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