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8권 / 1호
· 저자명 : 이은주
목차
I.서론
II.용어의 정의 및 윤리강령
III.가족치료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IV.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문초록
초록
황성철의 연구 (1996)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윤리적 갈등상황에 부딪칠 때 그것을 임상적 개입방법 차원의 문제로서만 인식할 뿐, 그 문제가 윤리적 차원의 문제라는 것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 윤리적 차원의 문제에 대한 임상적 실천가들의 민감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효과적인 실천을 위하여서는 가치와 윤리 문제에 대한 가족치료사들의 민감성 증진이 시급한 과제라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위의 가족치료의 16가지 윤리적 딜레마들 중에서 첫째, 임상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와 직접 만나면서 당면하는 윤리적 딜레마, 둘째, 어떠한 모델의 이론과 기법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여러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당면하는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딜레마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임상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와 직접 만나면서 경험하는, 그리고 다양한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당면하는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딜레마로서, '치료자의 가치와 가족의 가치가 다른 경우', '치료자의 여성주의적 가치 부과', '결혼 지위에 대한 결정', '비밀보장-가족 대 개인의 욕구', '고지된 동의'가 부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딜레마들에 초점을 맞추어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가족치료자들의 민감성을 증진하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문헌연구이다. 이 5 가지 딜레마를 논의함에 있어서, '가족 대 개인의 욕구'에 관련된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루면서 가장 먼저 논의하기로 한다. 왜냐하면 이는 가족원들을 함께 만나는 치료양식 자체로 인해 본질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로서, 가족치료의 윤리적 딜레마들 중 가장 기본이 되며, 다른 딜레마들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치료자의 가치와 가족의 가치가 다른 경우'에 대하여 알아보려 하며, '결혼지위에 대한 결정'은 여기에서 성역할 및 기타의 가치와 함께 다루기로 한다. 또한 '치료자의 여성주의적 가치 부과'는 '가족 대 개인의 욕구' 및 '치료자의 가치와 가족의 가치가 다른 경우'에 공통적으로 관련되는 이슈로서, 이 두 주제를 논하면서 함께 고찰될 것이다. 그 다음 '비밀보장' 문제 역시 '가족 대 개인의 욕구'와도 관련되는 딜레마로서, 여기에서는 부부간 및 부모-자녀간으로 나누어서 논의하겠다. 마지막으로 '고지된 동의'의 문제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각 딜레마들을 고찰하는 틀은 다음과 같다. 우선 그 딜레마의 성격에 관해 간략히 알아보고, 이를 미국 부부 및 가족치료협회 (AAMFT)의 윤리강령에서는 어떻게 규정했는지를 살펴본 후, 가족치료자가 실제 임상현장에 이 딜레마들을 경험하는 예를 알아본다. 그리고 나서 딜레마 상황에 대처하는 데 있어서 상반된 입장들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논점들을 토의한다.
영어초록
Since family therapy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1970s, its development tended to focus on theories and techniques with little attention on values and eth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amily therapists to promote more interest and sensitivity in values and ethics for the maturity of the profession,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tarts with the 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terms and the limitations of AAMFT code of ethics and then discusses several basic ethical dilemmas which many family therapists tend to face in their clinical practices. First, the dilemma of family versus individual needs, which comes from the very mode of family therapy itself, is discussed. It is followed by the dilemma of value differences between the therapist and client, especially in terms of marital status, sex roles, and others. Third, issues of confidentiality between spouses an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discussed. Forth, issue of informed consent is discussed. For each dilemma, different ways to approach the dilemma and controversies over such approaches are discussed. Since there is no clear answer on how to solve these dilemmas, the choice over the most appropriate approach is based on the therapist's personal values and attitudes. In that sense,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of the therapist's own values, referral, and procedures of informed consent are discussed. Finally,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to make the profession of family therapy more ethical and mature.
참고자료
· 없음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