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연구의 필요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외과 54병동 단기병실에 이비인후과 환자들 중 비중격만곡증의 치료를 위해 입원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었다. 세세하게 배웠던 질환이 아니라서 이번 기회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그에 맞는 알맞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비중격만곡증에 대한 case study를 하고자 한다.
Ⅱ.문헌고찰
1.정의
연골과 뼈로 구성되어 좌우 비강을 나누는 비중격은 코의 골부와 연골부의 가장 중요한 지지구조로서 코 끝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비중격만곡증이란 그러한 구조가 휘어져있는 상태로, 코와 관련된 증상들 즉, 코막힘, 부비동염 등의 기능적 장애를 유발하는 경우를 말한다.
2.원인
1) 선천성 혹은 발달성 기형
자궁 내의 태아,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 또는 성장하면서 편평한 두개저의 모양이 약간 경사지게 되면서 비중격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부모 자식 간의 비중격 기형의 모양이 비슷하게 형성되기도 한다.
2) 출산 주형설
자연분만 시 산도에 눌려 비중격 연골의 위치가 변하여 만곡이 발생하거나, 임신동안 뱃속에서 태아의 코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비중격 기형이 생길 수 있다.
3) 후천성 혹은 외상성 기형
분만 시에 발생한 외상이나 성장기의 가벼운 외상이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비중격의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 연골의 내부 장력에 의하여 손상 받은 쪽으로 만곡이 발생한다. 직접적인 외상이 원인일 경우에는 흔히 코모양의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복잡한 형태의 기형을 나타내기도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