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영민, [황순원의 문체 그 소설적 미학, 『말과 삶의 자유』 , 문학과 지성사, 1985
· 김봉숙,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통과제의 연구] , 『황순원 전집 1권』, 제주대 석사논문 , 1987
· 김종회, [황순원 소설의 작중인물 연구], 『한국소설의 낙원의식 연구』 , 문학아카데미 , 1990
· 김해옥,『한국 현대 서정 소설론』, 새미, 1999
· 김현,「안과 밖의 변증법」,『황순원 전집』1, 문학과 지성사, 1992
· 김현숙, 황순원 별 의 ‘내몰다’의 기호학 , 구조와 분석Ⅱ-소설 , 창, 1993
· 남태제, [황순원 문학의 낭만주의적 성격 연구] ,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 1997
· 박선미, [황순원의 문체연구-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중심으로] , 이화여대 석사논문 , 1987
· 박혜경, [황순원 문학연구] , 동국대 박사논문 , 1994
· 서재원, [해방직후 황순원 소설 연구] , 고려대 석사논문 , 1990
· 양선규, [황순원 소설의 분석 심리학적 연구] , 경북대 박사논문 , 1991
· 우찬제, [말무늬. 숨글 . 글틀] , 『작가세계』 , 1995 . 봄호
· 이월영, [꿈, 소재, 서사문학의 사상적 유형], 전북대 박사 논문, 1990
· 이익성, 『한국 현대 서정소설론』, 태학사, 1995
· 임진영, [황순원 소설의 변모양상] , 연세대 박사논문, 1999
· 임채욱, 『황순원 소설의 서정성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 장현숙,『황순원 문학연구』, 시와시학사, 1994
· 장현숙, [황순원 소설연구] , 경희대 박사논문 , 1994
· 조남현, [황순원 초기 단편소설], 『한국현대소설사 연구』 , 믿음사
· 조동일,『한국문학통사Ⅴ』, 지식산업사. 에서 재인용, 1988
· 최옥남,「황순원 소설의 기법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6
· 최주한, [인물 제한적 서술시점과 현실의 내면화] ,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 1998
· 허명숙, [황순원 이미지 분석을 통한 동일성 연구] , 숭실대 박사 논문 , 1997
· 황순원,『황순원 전집 1』, 문학과 지성사
· 황순원「시선집」, 황순원 전집 11, 문학과 지성사
· 황순원,『황순원 전집 2』, 문학과 지성사
· 황순원,『황순원 전집 3』, 문학과 지성사
· 황순원,『황순원 전집 4』, 문학과 지성사.
· 황순원,『황순원 전집 5』, 문학과 지성사.
· 황순원외,「말과 삶과 자유」,『말과 삶과 자유』, 문학과 지성사, 1985
· G. Dickie, 오병남 역, 『현대미학』, 서광사
· R. Welleck & A. Warran, 백철, 김병철 공역, 『문학의 이론』, 신구문화사
· W. 카이저, 김윤섭 역, 『언어예술작품론』, 시인사, 1988
· 스탄젤, 김정신 역, 『소설의 이론』, 문학과 비평사, 1990
· 찰스 E메이, 최상역 역, 『단편소설의 이론』, 정음사, 1990
· 랄프 프리드만, 신동욱 역,『서정소설론』, 현대문학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