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경비와 경찰의 협력 방범활동에 대한 연구
*현*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민간경비와 경찰의 협력 방범활동에 관현 졸업논문입니다.목차
Ⅰ. 서 론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 민간경비와 경찰의 협력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민간경비와 경찰의 의의
2. 민간경비와 경찰의 협력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 민간경비와 경찰의 관계 현황 및 한계점
1. 민간경비의 현황 및 한계점
2. 경찰의 현황 및 한계점
3. 민간경비와 경찰의 관계 현황 및 한계점
Ⅳ . 민간경비와 경찰의 협력 방범활동 강화 방안
1. 법·제도적 정비
2. 운영상의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 론1. 연구의 목적
현대 우리사회는 21C로 접어들면서 삶의 질이 향상되어 남북분단이라는 대치상황 속에서도 고도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발생하는 긍정적인 혜택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경제규모의 팽창, 전통적 가치관 혼란, 인구의 도시집중 등 사회 환경의 변화도 그만큼 뒤따르며 긍정적인 혜택 속에서 다양한 위험 요인들도 함께 공존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확산과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모방범죄가 증가하고,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범죄 역시 광역화, 다양화 되어 사이버 범죄 등과 신종 범죄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회·경제적 불안으로 인한 생계형 범죄, 강력범죄 등이 급증하고 있어 경찰의 범죄 예방 기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과거의 범죄와 비교하여 오늘날의 범죄는 더욱 강력해졌으며 지능적이고 전문적인 양상을 보인다.
<중 략>
민간경비업은 단순히 영리사업이 아니라 특별한 사회적 역할을 가진 공공성이 강한 안전보장산업이다. 시민의 일상생활상의 안전과 평온에 직접 기여하고 있는 점에서 방범상 공공성을 띠고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민간방범 시스템이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국민 개개인의 생명, 신체, 재산의 보호를 주 임무로 하는 경찰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므로 법 집행에 중점을 두는 경찰을 보조해 줄 민간경비산업의 효율적인 활성화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경찰과 민견경비 양자간의 상호이해화 협조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경찰의 존재 목적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으므로 범죄를 예방하고 발생범죄를 해결하는 등 국민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즉 이러한 측면에서 치안서비스 생산의 공동생산주체인 민간경비와 파트너 관계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참고 자료
공배완, “한국 민간경비교육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경호경비연구, 제12호, 2006.곽대경, “한국 민간경비산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호., 2002.
김구현·김정현, 「민간경비론」 서울 : 백산출판사, 2002.
김상균,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증진 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 제7호, 2004,
김성언, “민간경비의 성장과 함의(치안활동의 신 자유주의적 재편과 계약적 통치의 등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김정환·서진석, 「한국민간경비산업발전사」 서울 : 백산출판사, 2003.
노현경, “민간경비와 경찰의 상호협력체제 구축”,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09.
박병식, 「민간경비론」서울 : 법률출판사, 1996.
박주현, "공안행정의 민간부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0.
박준석, “민간경호·경비산업론”, 백산출판사, 2005.
박상희서정범, “경찰작용법제의 개선방안”, 한국법제연구원, 1996.
백봉현. “한국민간경호산업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02.
서민, “우리나라 민간경비 산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 대학교, 2003.
서진석, “우리나라 민간 경비 산업 동향분석에 따른 전문 인력 양성방안”, 중부대학교 경찰 경호학과 학술세미나, 2007.
서진석, “치안환경 변화에 따른 경찰과 민간경비의 역할분담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안면선,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을 통한 방법 역량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 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5.
안창훈, “경비지도사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대논문집, 제17집, 1994.
윤창수, ,“경찰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민간경비 역할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95.
이상원, “민간조사제도의 도입방향”, 한국민간특수행정학회보, 제9호, 2008.
이상원, 「범죄예방론」, 대명출판사. 2005.
이윤근, 「민간경비론」 서울:엑스퍼트, 2001.
이윤근, “한국사경비발전방안에관한조사연구”, 박사학위논문동국대학교, 1987.
이윤근, “한국 민간경비산업의 발전방안(3)”, 경찰저널 제 66호, 미디어폴리스, 2001.
이황우, ‘경찰행정학’, 1998.
전광수. “한국 민간 경호·경비 산업의 발전방안”,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2004.
정경화, “방범기기 형식승인 기준에 관한 연구”, 치안연구소 연구보고서, 1998.
정윤길. “지방공공서비스의 위탁계약 관리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1998.
최선우, 「치안서비스 공동생산론」서울 : 대왕출판사, 2002.
한국 특수 직능 교육재단, 2011.
한병락 외 2인, “민간방범 역량강화를 위한 민간경비제도 발전방안”, 치안논총, 제11집, 1995.
한신만, “민간경비제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Arthur J. Bliek, "Legal Aspects of Private Security", (Cincinnati : Anderson Publishing
Co., 1981.
James J. Fyfe R. Greene, William F. Walsh, O. W. Wilson, and Roy Clinton McLaren, Police Administration, 5th ed. (New York: The McCraw-Hill Co.. 1997.
Les Johnston, The 'Rebirth of Private Policing New York : Routledge, 1992.
Clifford D.Shearing and Phillip C.Stenning,"Modem PrivateSecurity :Its Grawth and implications",in Michael Tonty and Norva lMorris, ed., Grime and Justice : An Annual Revie of Research(Vol. 3)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81), quated in William C. Cuningham and Todd H.Taylor,Private Security and Police in America "The HallcrestReport"(Portland,OR :ChancellorPress,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