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정약용의 사상세계
1. 당시의 시대적 상황
2. 새로운 세계관
1) 실학자로서의 다산
2) 성리학의 천리(天理)에 대한 비판적 시각
3. 개혁에의 의지
1) 제도의 개혁
① 토지제도의 개혁
② 그 밖의 제모순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
4. 『목민심서(牧民心書)』의 성격
1)『목민심서(牧民心書)』
2) 『목민심서』의 두 가지 기본적인 시각
5. 합리적 과학정신
6. 주체적 문학 정신
1) 시인으로서의 정약용
2) 다산의 시세계
7. 한국이 낳은 최대의 사상가, 정약용
본문내용
<1> 정약용의 생애
다산은 1762년(임오년, 영조38년) 음력 6월 16일, 아버지 정재원(羅州丁氏-荷石 丁載遠)과 어머니 해남윤씨(海南尹氏) 사이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난 곳은 서울에서 가까운 팔당호 기슭의 마재(또는 마현, 두척)마을이다. 號는 다산(茶山)·삼미자·여유당 등, 字 는 미용(美鏞)·송보(頌甫) 등이다.
● 우등생 정약용의 성장기
정약용은 네 살 때 천자문을 배웠고 일곱 살 때는 처음 시를 지었다. 열 살 때 부친에게 경전과 역사를 배운 다산은 어릴 때부터 재주가 총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학업에 열중하였다. 나이 열여섯, 다산은 자신의 학문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실학의 선구자 성호 이익의 길을 접하고 학문을 굳히게 되었다.
<중 략>
- 『마과회통(麻科會通)』이라는 불후의 의서를 저술
- 박제가朴齊家와 함께 종두법(種痘法) 연구, 보급
⇒ 그의 자연과학 업적이 근대 과학의 성과에 미치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사물을 관찰하는 그의 합리성은 철저한 바 있었다.
6. 주체적 문학 정신
1) 시인으로서의 정약용
그는 2천 5백여 수의 시를 남긴 뛰어난 시인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의 시 속에는 실학정신이 일관되게 구현되어 있다.
다산은 자신과 같은 시대, 같은 장소에서 함께 사는 사람들과의 연대의식이 시의 밑바탕을 이루고, 개인적인 정서를 노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개인의 차원을 넘어선 보다 큰 문제가 개인의 경험 속에 수렴되고 집약되어 나타나야 한다고 주장
> 시 속에 조선조 후기의 사회적 모순들이 남김없이 고발되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