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자립생활운동의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인대학생의 학교생활 및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국문초록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의 제한점
II. 선행연구 고찰
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운동의 역사와 현황
1) 중증장애인의 개념과 그 실태
2) 자립생활운동의 의미와 이념
3) 우리나라와 외국의 자립생활운동의 역사와 현황
4) 재활패러다임에서 자립생활패러다임으로의 전환
2. 활동보조서비스의 의미와 내용 그 실태와 현황
1) 활동보조서비스의 의미와 내용
2) 활동보조서비스의 실태와 현황
III. 대학 내 중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사례분석 연구
1. 나사렛대학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의 연혁
2. 사업 현황
3. 나사렛대학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의 과제
4. 중증장애대학생에 대한 활동보조서비스 내용 및 필요성
IV. 연구결과 분석
1.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2. 연구결과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2)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대학생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3)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대학생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4)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5) 중증장애대학생에 대한 활동보조서비스 지원의 필요성
6) 대학 내에서의 자립생활센터의 상설화 필요성
V. 결론 및 제언
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 중증장애인자립생활운동의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대학생의 학교생
활 및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사를 위한 설문지
본문내용
자립생활은 장애인 복지의 궁극 실천 이념이며 목표이다. 한 인간으로 사회 속에 태어나 그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자신의 삶을 영위하
고 그를 통하여 자아실현을 이루고 싶은 꿈은, 사람이면 누구나 다 지니고 있
을 것이다. 하물며 장애를 지니게 되면서 사회환경적 제약으로 인하여 인간다
운 삶 자체를 온전히 누리지 못하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있어 자립생활의 실현
은 단순히 복지적 차원을 뛰어넘어 인권확보 차원에서도 참으로 소중하기만 하
다. 여기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의 가치와 필요성, 그 철학적 근거가 있는 것이
다. 그런데 중증장애인들에게는 일상생활활동을 돕는 활동보조서비스와 같은
지원서비스가 함께하지 않으면 아무리 법적 제도적 장치가 갖추어진다 하더라
도 지역사회 내에서의 온전한 일상생활 영위와 그로인한 사회통합이 거의 불가
능하다.
그것은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장애학생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1995년
부터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가 도입 실시됨으로서 장애학
생 수가 점차 늘어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교육현실은 아직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중증장애학생인 경우 이들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강의, 불
공평한 학습평가, 수행하기 어려운 과제물 부과, 편의시설 미비 등으로 인해
학업수행상의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 략>
연구의 조사방법으로는 대상자에게 직접 설문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
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조사자가 설문에 응답한 후 일정기간 이후 회수하기
로 하였다. 설문지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설문지 배부할 때 응답에 대한
답례로 사무용품을 증정하였다. 또한 설문지의 회수 및 작성을 확인하기 위하
여 대상자에게 전화 독려를 하여 회수율을 높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중증장애인자립생활운동의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
애대학생의 하교생활 및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사를 위한 설문지이다. 설
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구성 내용은 이론적 검토와 선행
연구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새로 제작된 총 41 문항으
로 구성되었는데, 아래 <표 7>과 같이 자립생활운동과 관련한 5문항, 활동보
조서비스와 관련한 19문항, 자립생활센터와 관련한 9문항, 그리고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8문항 등이다.
참고 자료
고관철 (2006). 동료상담의 이론과 실재. 제2회 장애인 동료상담사 양성교육 자료집. 나사렛대학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국가인권위원회 (2002). 장애인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 실행 이후 학내 지원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정책국
인권연구담당관실 국립재활복지대학.
국가인권위원회 (2006). 활동보조인서비스 중심으로 실시한 중증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권성민 (2004).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경미 (2005). 미국의 활동보조 서비스. 한 일 미 독 4개국 활동보조서비스지원 및 제도 심포지엄 자료집. 정립회관.
김경혜 (2004).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운영기반 조성방안 보고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도현 (2004). 외국 활동보조인서비스 현황과 제도화의 쟁점들. 성동구 장애인자립생활 지원 조례제정 간담회 자료집. 성동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동호 (1999). 새천년의 전략 -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 삼애마당, 11 12. 정립회관.
김동호 (2001). 장애패러다임의 전환과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 장애인고용, 42, 68-93.
김재익 (2006). IL이념과 새로운 서비스의 발전방향 모색. 자립생활 이념과 발전방향을 위한 지역순회세미나 자료집.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김종배 (2006). 미국의 IL운동의 역사와 현재.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세미나 자료집.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김정열 (2005). 장애인의 현실과 장애인 운동 : 소수자 운동의 역사와 전망. 경제와 사회, 67, 39-65. 한국산업사회학회.
김종인 (2003). 독립생활과 전동휠체어. 독립생활연대.
김종인 우주형 이준우 (2004). 재활복지개론. 서울 : 인간과 복지.
김종인 (2005). 자립생활이란 무엇인가 : 자립생활센터의 역할과 필요성. 나사렛대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창립세미나 자료집. 나사렛
대학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김지영 (2000).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실시 대학의 입시제도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나까니시 쇼우지 (1997). 자립생활운동의 역사적 변천과정 및 현황. 제1회 한일장애인 자립생활세미나 자료집. 정립회관.
문상민 (2006). 장애인 사회운동 연구. 한신대학교 사회복지실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계신 (2003). 외국의 자립생활센터 운영현황 : 미국 일본. 나사렛대학교 자립통합생활연구소.
박찬오 (2005). 일본 자립생활 지원의 법적 기반. 장애인자립생활지원법 제정의필요성과 방향 세미나 자료집. 한국장애인인권포럼 외.
변용찬 외 (2005). 2005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005). 보건복지부 중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추진계획 보고서. 보건복지부.
성숙진 (2002). 미국 중증장애인 독립생활운동 개념과 발달과정. 재활복지, 6(2),24-54.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송영욱 (1992). 무엇을 적응시킬 것인가. 한국DPI 국내 지도자연수 세미나 자료집. 한국DPI.
쉐피로 (1996-1999). 번역연재 “동정은 싫다(NO PITY)”. 함께걸음, 87-116.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신광영 (2005). 분배와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회복지의 이념과 철학 : 사회적배제, 사회통합과 세계화. 2005년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사회복지연구회.
양희택 (2006). 장기요양제와 활동보조인제는 어떤 관련 있나?.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홈페이지 정책마당. http://www.kodaf.or.kr/policy/
bbs.aspx?bpro=view_202_206_1_97542
오노우에 고우지 (2006). 장애인(障害者)의 자립생활(自立生活)과 지원비제도(支援費制度). 한 일 미 독 4개국 활동보조서비스 지원 및 제
도 심포지엄 자료집. 정립회관.
오혜경 (1999). 장애인자립생활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3, 39-63.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요코야마 테루히사 (2000). 일본 장애인 운동의 역사와 과제 : 개호 서비스 운동을 중심으로. 한 일장애인자립생활세미나 2000 자료집. 정
립회관 일본휴먼케어협회.
우주형 (2006). IL센터의 역할과 서비스. 제2회 장애인 동료상담사 양성교육 자료집. 나사렛대학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우주형 (2006). 나사렛대학교 IL지원센터의 역할과 방향모색. 2006년 자립통합생활연구소세미나 자료집. 나사렛대학교 자립통합생활연구소.
윤두선 (2005). 자립생활과 장애인 인권. 나사렛대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창립세미나 자료집. 나사렛대학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이경미 (1993). 자본주의와 장애인 차별 :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차별 기제와 양 상.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달엽 정우석 (2005). 직업재활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독립생활운동의 의미와 협력체계연구. 직업재활연구, 15(2), 155-175. 한국직업재활학회.
이상호 (2006). 장애인자립생활지원 제도화의 방향과 과제 토론문. 장애인자립 생활지원 제도화의 방향과 과제 세미나 자료집. 한국장애인인
권포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이익섭 김경미 외 (2006). 보건복지부 장애인 자립생활 시범사업 평가 및 모델 개발 연구 용역 보고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이현준 (2001). 유료도우미 실천 사례. 유료도우미제도의 필요성과 선행되어야 할 과제.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자립생활 프로그램 매뉴얼 (1998). 정립회관.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2001). 자립생활의 패러다임이 몰려온다. 함께걸음, 10. Retrieved 2002-03-26. from http: //www.metro.seoul.kr/kor/friend/7/2/3/200110/16. html.
장애인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공동사업운영위원회 (1994). 장애인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공동사업운영위원회 활동자료집. 장애인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공동사업운영위원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준) (2006). 사람처럼 사람답게 사람으로 살고 싶다.
활동보조인 제도화투쟁 자료집.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준). 전정식 (2006). 한국 활동보조서비스의 현재. 한 일 미 독 4개국 활동보조서
비스 지원 및 제도 심포지엄 자료집. 정립회관. 정미야 (2004). 미국과 일본의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실천 지원체계 연구. 호남대
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종화 (2005). 활동보조서비스 제도화를 위한 법 개정 방향. 한국적 장애인자 립생활센터 운영과 법제도 마련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한
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정종화 (2006).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PAS) 제도화 구축방안. 장애인활동보조
인서비스 제도화 구축방안에 관한 토론회 자료집. 한국장애인 자립생활센터협의회 민주노동당 현애자의원실.
정중규 (1996). 이 사회의 인간화를 위하여. 신사고, 96(봄). 포럼신사고.
정중규 (1997). 2002년과 장애우운동. 함께걸음, 97.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정중규 (1997). 장애가 장애 되지 않는 사회를 향하여. 신사고, 97(여름). 포럼신사고.
정중규 (1999). 빈 들에서 부르는 새 천년의 노래. 부산 : 푸른별.
조한진 (2006). 미국의 활동보조서비스와 우리의 선택. 지역사회 중증장애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자립생활 기반조성 세미나 자료집. 성동장애인자립생활센터.
최윤영 (2005). 독일의 자기결정의 삶과 활동보조서비스. 한 일 미 독 4개국활동보조서비스 지원 및 제도 심포지엄 자료집. 정립회관.
화이트 G. W. 브리스토 W. (2004). 한 미 장애인자립생활 워크샵 자료집.정립회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2000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 일 장애인 자립생활 세미나 자료집 (2000). 한국 : 정립회관 · 일본 : 휴먼케어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