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헤르만 헤세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구원(救援) 모티브

*병*
최초 등록일
2013.05.06
최종 저작일
2013.05
1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 "죽음의 문제가 헤세의 주요 테마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이미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 같다. ..... (헤세의 초기작품 `수레바퀴 아래에서, 중기작품 `황야의 이리`, 후기작품 `지와사랑`) 이 작품의 비교 분석에서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각성`, `물`, `여성`을 통해 논문 저자는 아라본다. 여기서 이 세 단어가 가진 상징성을 알아보고, 또 이 세 단어는 헤세문학 뿐만 아니라 독일문학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모티브임을 강조해서 설명했다. 헤세 연구가 좀 더 세분화 되거나 심도있게 다뤄져야 한다는 의미에 있어, 논문저자는 좋은 주제를 선택했다. 게다가 세볖의 헤세 작품을 비교 분석 했다는 점에서 굉장한 노력을 논문 저자는 했음이 짐작된다. - 조 창현 : "한국에서의 헤세 수용에 관하여" 한국헤세학회 헤세연구 1집에서 -


* "죽음의 문제가 헤세의 주요 테마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이미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 같다. ..... (헤세의 초기작품 `수레바퀴 아래에서, 중기작품 `황야의 이리`, 후기작품 `지와사랑`) 이 작품의 비교 분석에서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각성`, `물`, `여성`을 통해 논문 저자는 아라본다. 여기서 이 세 단어가 가진 상징성을 알아보고, 또 이 세 단어는 헤세문학 뿐만 아니라 독일문학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모티브임을 강조해서 설명했다. 헤세 연구가 좀 더 세분화 되거나 심도있게 다뤄져야 한다는 의미에 있어, 논문저자는 좋은 주제를 선택했다. 게다가 세볖의 헤세 작품을 비교 분석 했다는 점에서 굉장한 노력을 논문 저자는 했음이 짐작된다.
- 조 창현 : "한국에서의 헤세 수용에 관하여" 한국헤세학회 헤세연구 1집에서 -


* 논문의 내용에 있어서도, 헤세가 말하는 죽음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이고 쉽게 서술했다. ..... 죽음의 문제에 관한 테마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개된 헤세에 관한 논문이다. 혜세 연구의 보다 심도있는 발전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도 이논문은 그 주제의 선택에서부터 의미가 있다. 또 헤세의 여러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각성`, `물`, `여성`을 통해 논문저자는 알아봤다. 아우러 이 세 단어가 가진 상징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조 창현 : "한국에서의 헤세 수용에 관하여" 한국헤세학회 헤세연구 1집에서 -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선행연구의 고찰
3.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II. 헤르만 헤세에 있어서 죽음의 의미

III. 죽음의 구원 모티브
1. 인식(認識 Erkenntnis)과 각성(覺醒, Erwachen)을 통한 구원과 몰락
2. 물(Wasser)과 물가의 구원과 몰락의 상징적 의미
3. 여성과 사랑을 통한 구원과 몰락

IV.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서정적이고 전원적인 분위기에서 출발해 인간완성의 문제를 깊이 파헤쳐 인간의 자기실현과 개성화과정을 다룬 작가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 1877-1962)는 국내에서 특히 석사 학위논문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작가이다. 이 충섭 교수의 조사에 의하면2) 1957년부터 1986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헤세에 관한 학위논문은 총 36편(석사논문 33편, 박사논문 3편)이고, 그 이후로도 많은 논문이 쓰여 지고 있다. 이러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헤르만 헤세를 선택해 연구하게된 목적은 두 가지 이다.
첫째, 헤르만 헤세의 초기작품 연구에 목적이 있다. 헤르만 헤세의 창작시기를 Siegfried Unseld의 구분에 따라 세 시기로 나누어 볼 때,3) 우리나라에서 헤세의 작품연구는 중기와 후기작품에 치중되어있어 초기 작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헤세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와 더불어 초기작품 <수레바퀴 아래에서(Unterm Rad)>를 부분적으로나마 연구하고자 한다.

<중 략>

그러나 헤세에게 있어서 이러한 이원적 대립은 비극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원적 대립이 지양되고 단일성을 체험함으로서 완전한 자기실현과 개성화실현을 이루어 신과의 합일, 자연과의 합일, 자아의 재탄생을 실현하는 구원의 단계로 승화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헤세 작품 중에 유일하게 사회비평적인 요소를 담고 있는 <수레바퀴 아래에서>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작품이 자아완성과 자아의 재탄생을 실현하는 구원의 단계로 승화된 죽음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구원의 단계로 승화된 죽음은 헤세의 작품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나는데, 그의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죽음의 구원적 의미를 상징하고 있는 모티브는 ‘인식(認識 Erkenntnis)과 각성(覺醒, Erwachen)’, ‘물(Wasser)과 물가’, 그리고 ‘여성(女性)과 사랑’이다.

참고 자료

C. Wilson : Outsider und Br&uuml;ger in Materialien

Christian Immo Schneider : Das Todesproblem bei Hermann Hesse. Marburg. 1973
Eckhart Gl&ouml;ckner und Thomas Lang : Materialien, Hermann Hesse Unterm Rad. Stuttgart,1979
Franz Bauer : Hermann Hesse 2. Auflag, Berlin Colloquium Verlag, 1961,
Hans J&uuml;gen L&uuml;thi : Hermann Hesse, Natur und Geist, W Kohlhammer. Stuttgart/Berlin/K&ouml;ln/Mainz, 1970,
Hermann Hesse : Narziß und Goldmund, Suhrkamp Taschenbuch 274 Ulm,1982.
Hermann Hesse : Unterm Rad, In : Gesammelte Werke 2., Suhrkamp Verlag, Frankfurt a. Main, 1970, S. 144.
Hermann Hesse : Unterm Rad, In : Gesammelte Werke 2., Suhrkamp Verlag, Frankfurt a. Main, 1970
R. Karalaschwilli : Josef knechts Tod, in : Von Michels(Hrsg.) Materialien zu H. Hesse <Das Glasperenspiel> Zweiter band,
Siegfried Unseld : <Begegnungen mit Hermann Hesse>, Frankfurt/M, 1975,


김 준오 : 詩論, 문장사, 1982.

박 찬기 : 독일 문학사, 일지사, 1982. S.19

이 충섭 : <한국 독문학/독어학 석박사 논문서지 : 1957~1986>, 경북대학교 독어독문학 제 16집, S. 353-405, 경북, 1986.

유 병민 : Hermann Hesse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서울,1989

유 병민 : 헤르만 헤세 소설의 구성적 특징과 죽음의 연구 헤세연구 제4집 한국헤세학회 2000

홍 순길 : 헤르만 헤세의 전일적 인간상 -소설 싯달타를 중심으로-,창학사, 서울,1984.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병*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헤르만 헤세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구원(救援) 모티브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