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새로운 지역발전정책으로 전국을 5대 광역경제권과 2대 특별광역경제권으로 설정하는 ‘창조적 광역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수도권충청권호남권대구-경북권동남권의 5대 권역과 강원권제주권의 2대 특별권역으로 나누어 시도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역 간 통합발전을 위한다는 전략이며, 전국의 균형발전을 위한 각 지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박재욱, 2009). 또한 최근 도시 및 지역들 간의 불균형 해소를 위한 협력적 네트워크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이 나타나고 있으며, 보다 넓은 의미에서 지방자치단체간의 협력적이고 광역적인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태와 제도로 나타나고 있다(정규진정문기, 2010).
<중 략>
광역경제권의 설정은 16개 광역시·도를 인구·산업·인프라·역사·문화적 동질성·지역정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었고 이는 중심-주변의 기능적 연계에 의해 형성된 대도시권과 비대도시권을 함께 아우르는 광역적 지역이다. 따라서 수도권을 비롯한 기존 대도시권의 중심대도시들이 세계도시(지역) 네트워크상에서 각 도시의 위상과 특성에 맞도록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광역경제권의 중심대도시이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초광역개발권의 핵심거점지대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및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중 략>
현재 추진 중인 초광역개발권 또한 중층적 구조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 현재 초광역개발권은 “4+α”이다. “ α”의 의미를 단순히 아직까지 미지정된 의미, 즉 4대 초광역개발권 설정에서 배제된 지역에 지역안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는 의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α”로서의 의미, 즉 7개 광역경제권을 아우르고 대외개방형 초광역개발권(벨트)의 파급효과를 최대화하며, 세계지향적인 초광역경제권을 동북아 메가지역들과 연계하여 세계의 거대 경제권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전체 지역발전 전략의 시너지효과의 극대화를 창출할 수 있는 글로벌 초광역개발권으로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국토연구원(2009), 제4차 국토종합계획 재수정계획 수립연구(2009-2020).
· 권용우·유환종(2005), “한국의도시체계변화와도시관리방향”, 국토지리학회지, 39(1), 149-159.
· 김광익(2008), 국토경쟁력 강화를 위한 광역경제권 설정 및 발전구상, 국토연구원.
· 김광익·유환종(2006), “도시와세계화”, 김인·박수진편, 도시해석, 푸른길, 129-144.
· 김동주(2008), “광역경제권발전전략과과제”, 창조적국토발전전략심포지엄, 국토연구원.
· 김원배 외(2007), “베세토 비즈니스 회랑의 구축: 동북아 교통망의 비전과 실천방안”, 국토, 314, 국토연구원, 98-104.
· 김 인(2005), 세계도시론, 법문사.
· 낙동경제포럼(2005), “지역발전 방안 연구”
· 매일신문(2008.1), “대경광역경제권 시대 (상)규모의 경제 파이를 키운다”
· 매일신문(2008.4), “영남 신공항 시급…10년내 건설을"
· 모리치 시게루·2층광역권 형성연구회 편저(이주일 외 옮김)(2005), 인구감소시대의 국토비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손창남·조강철(2008), 주요국의 광역경제권 구축사례와 시사점, 한국은행.
· 연합뉴스(2008.1), “인수위, ‘5+2’광역경제권 추진-인수위, ‘광역경제권 구상’은 규모의 경제 산물
· 아시아경제(2008.4), “국토개발정책 어떻게 바뀌나”.
· 오창균(2008.2), “광역경제권 중심 지역정책과 대구경북의 대응방안”.
· 이성근 외(2008.3), “지역개발론”
· 이원섭(2008.4), “광역경제권 구축 방향과 과제”
· 이재하(2003), “세계도시지역론과그지역정책적함의”, 대한지리학회지, 38(4), 562-574.
· 지역발전위원회(2008), 2008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 연차보고서.
· 지역발전위원회(2009.7.16.),「 4+α」초광역개발로국토의대외개방형미래성장축육성(보도참고자료).
· 행정안전부(2008), “상생협력ㆍ갈등관리 :우수사례집”
· Brenner, N. & Keil, R.(eds.)(2006), The Global Cities Reader, Routledge.
· Derudder, B. et al.(2009), Pathways of Growth and Decline: Connectivity Changes in the World City Network 2000-2008, GaWC Research Bulletin 310 (www.lboro.ac.uk/gawc/rb/rb310.html).
· Florida R. et al.(2008), “The Rise of the Mega-Region”, CESIS Electronic Working Paper Series, 129, 1-29.
· Hall, P. & Pain, K.(eds.)(2006), The Polycentric Metropolis: Learning from Mega-City Regions in Europe, Earthscan.
· Robinson, J.(2005), “Urban geography: world cities, or a world of cit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9(6) 757-765.
· Scott, A. J.(ed.)(2001), Global City-Regions: Trends, Theory,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 Taylor, P. J. et al.(2009), “Measuring the World City Network: New Developments and Results”, GaWC Research Bulletin 300(www.lboro.ac.uk/gawc/rb/rb30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