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계획서 (방송통신대) - 모아간호학
- 최초 등록일
- 2012.02.01
- 최종 저작일
- 2010.10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방송통신대학 모아간호학 졸업논문계획서
목차
Ⅰ. 논문주제
Ⅱ. 논문유형
Ⅲ. 연구개요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4. 논문예상체제
5.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논문주제
산전교육이 분만후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
Ⅱ. 논문유형
유형/분야
간호학과 모아간호학 분야
지도위원
이상미 교수님
Ⅲ. 연구개요
1. 연구의 필요성
현대 사회에서 출산은 문화적 영향과 사회적 변화, 기술발전 특히 모자보건의 건강증진을 반영한다. 실제로 어머니가 되기 위한 준비는 임신을 하기전, 그보다 더 오래전부터 시작되는데 이것은 영아기, 아동기, 성숙기를 통한 경험의 축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1960년대 여성운동의 출현과 더불어 많은 여성들이 배우자와 함께 출산을 준비하고 정상 생리과정으로서 출산을 관리하고자 하는 교육적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전관리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이 낮아 산전관리 실태가 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임부의 산전관리 기준에 매우 뒤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임부는 분만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분만과정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임하도록 준비하여야한다. 임부는 임신이 확인된 뒤부터 분만전까지 산전건강관리는 통해 임부와 태아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이루어 신체적 적응 및 역할변화와 관련된 건전한 부모기의 준비 등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산전교육과 비산전교육군 임부들의 임신, 분만, 산욕에 대한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도에 대한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이 임부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참고 자료
강정희, 1980, 임산부의 불안공포의 원인과 정도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10(2), 1-12
곽연희, 1996, 산모교육의 효과측정 : 산욕기 자가간호화 신생아 양육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 학교 서울
곽연희, 이미라, 1996, 산모교육의효과 측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2), 245-256
박춘화, 이채언, 2002, 임부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교육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1), 34-54
김귀경, 2003, 산전교육이 미혼모의 분만과 산후관리지식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