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작품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다 알 수 있다시피 그는 4대 비극작품에 있어서 등장하는 인간을 사적으로는 개인의 사랑을 추구하고 공적으로는 명예 , 혹은 권력을 추구하고자 하는 다양한 욕망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 묘사하였다.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 주인공들이 추구하는 사랑과 명예 그리고 욕망들은 서로 얽히고 설켜 서로간의 이해관계의 충돌로 인한 갈등을 빚고 있다. 여기서 명예나 권세를 추구하여 그 자리에 오른 인물들은 설령 그들이 원하는 것을 얻었다 해도 행복하지 못하는, 결국 불행에 빠지는 결말을 맞게 되기도 하고 반면에 갈등과 시련 속에서 사랑을 추구하고 진실된 시선으로 선한 마음을 굳건히 지키는 자는 외적인 요인이나 주변 환경에 의해서는 비록 불행해 보이고 달갑지 않은 시련을 겪게 되기도 하지만 결국 서로간의 관계 속에서 삶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고 정신적으로 궁극적인 목표를 성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셰익스피어가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가치가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구성이다. 그는 자기중심적인 명예나 야욕에서 찾아 유지하는 정체성 보다는 상호적인 인간관계와 외부의 시련 속에서 갈고 닦아지는 인간의 본질적인 정체성과 고귀한 인품에 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고 볼 수 있다.
<중 략>
이렇게 국왕에 대한 반란은 곧 하느님에 대한 반란행위로 까지 받아들여 지는 이러한 시대상 속에서 절대권력을 휘두르던 리어는 통치권과 권력의 분할에서 오는 정치적 질서체계의 혼란과 기성세대와 자녀세대의 사회적이고 개인적인 관념과 이해관계의 대립, 갈등과 음모라는 혼란스러운 환경적 격동과 변화에 휩쓸려 버리고 만다. 그리고 이러한 대립과 갈등 속에서 광기와 고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는데 셰익스피어는 이 작품에서 기성세대의 대표이자 권력의 중심이었던 인물로 리어와 글리스터를 표면에 내세웠고 그 주변의 변화요인으로 세 딸과 에드먼드 에드가를 설정해 놓았다. 이 주요한 주변요인으로 인하여 기존의 가치관과 질서체계의 안정이 비정상적으로 뒤틀리고 부수어지면서 기성세대이자 독재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던 리어는 그 혼란 속에서 고통과 시련을 겪으며 차츰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시야를 가지게 되고 다른 방식으로 사물을 처음 제대로 인식하게 되는 자아각성을 경험하게 된다. 이 논문의 취지는 바로 이러한 고난과 시련 속에서 비로소 실현된 리어의 자아각성의 과정과 그 의의에 대하여 면밀히 분석하고 살펴보려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