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많이 부족하지만 열심히 적은 논문입니다. 한반도의 해방과정과 외부세력에 의한 한반도 분단과정을
미군정의 입장하에서 적었습니다. 남한에서 미군정의 한반도 정책에 관한 자료를 찾으신다면 많은 도움 되실것 같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미국의 전후처리 구상과 대한반도 정책
1. 미국의 신세계질서구상
2. 미국의 대한정책
1) 2차 세계대전 중 한반도 처리구상
2) 38선의 획정과 분단의 형성
Ⅲ. 미군정 실시와 단독정부수립 추진
1. 미군정 초기 정책과 국내정치세력의 등장
2. 신탁통치 파문과 국내정치세력의 동향
3. 미소공동위원회 개최와 미군정 정책의 변화
4. 협상의 결렬과 남한단독정부수립 추진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본문내용
Ⅰ. 서 론
2차 세계대전의 종결로 일본제국주의의 식민통치가 막을 내림으로 해방을 맞이한 한국은 반세기가 지난 이 시점에도 끊임없는 영토분쟁과 이념대립, 그리고 진보와 보수라는 갖가지 쟁점들에 직면해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이러한 다면적 쟁점들 중 그 중심에는 분단이라는 현실의 공간에 우리들이 가로놓여져 있다는 것이다.
한민족의 해방과 함께 찾아온 한반도 분단은 해방 이후 6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우리의 존재를 규정, 제약하고 있으며, 국제정치질서와 제반 여건의 상황이 크게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사적인 흐름과는 반대로 변화의 조짐마저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우리의 현대사는 해방정국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아직도 그 유산을 청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분단의 중대한 분기점이라고 할 수 있는 1945년 ‘해방 전후’를 기점으로 하여 분단원인과 과정을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미군정정책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려 한다. 나아가 이와 연관하여 국내정치세력의 득세과정과 동향을 이해함으로써 한반도의 분단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한반도가 분단적 상황에 직면하게 된 원인과 과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의 결과물이 있다. 한반도 분단의 원인에 대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논저 외 다수가 있다.
브루스 커밍스, 1983, 「한국의 해방과 미국정책」, 『분단전후의 현대사』, 일월서각,
신복룡, 2001,『한국분단사 연구』, 한올아카데미,
정용욱, 2003, 「해방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서울대학교 한국사연구총서』15,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계동, 2001, 「한반도 분단전쟁에 대한 주변국의 정책 : 세력균형이론을 분석틀로」, 『한국정치학회보 』35권 1호, 한국정치학회.
구태열, 1994, 「2차대전 종전시 소련의 한국문제 개입에 대한 재검토」, 『국제정치논총』34권 2호,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재희, 1989, 『해방직후 지배세력 형성과 미군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정치제도군정기구의 운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지연
참고 자료
參 考 文 獻
Ⅰ. 著 書
민주주의민족전선 편, 1946, 『조선해방 1년사』, 문우인서관.
조이스 콜코, 가브리엘 콜코, 1982, 「미국과 한국의 해방」, 『한국현대사의 재조 명』, 돌베개.
브루스 커밍스 외저, 1983, 「한국의 해방과 미국정책」, 『분단전후의 현대사』, 일월서각.
심지연 엮, 1986, 『해방정국 논쟁사』Ⅰ, 한울.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한국현대사연구회, 1987, 『해방정국과 민족통일전선』, 세계.
최상용, 1988, 『미군정과 한국민족주의』, 나남.
제임스 I·매트레이 저/ 구대열 옮김, 1989, 『한반도의 분단과 미국』, 을유문화사.
양호민 외, 1993, 『한반도 분단의 재인식』, 나남.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199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일보사,
프랭크 볼드인 , 1994, 『한국현대사』, 사계절.
강만길 외저, 1994,「분단구조의 정착-1」, 『한국사』17, 한길사.
김기조, 1994, 『38선 분할의 역사』, 동산출판사.
최영희, 1996, 『격동의 해방 3년』,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유병용 외, 1996, 『한국현대사와 민족주의』, 집문당.
김상웅 편, 1997,『사료로 보는 20세기 한국사』, 가람기획.
양동안 저, 1998, 『대한민국 건국사』, 건국대통령이승만박사기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