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축산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유기양돈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09.12.21
- 최종 저작일
- 2009.11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졸업논문(리뷰논문)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외국 유기양돈 현황
1. 외국 유기축산 추진 현황
2. 영국의 유기돼지 생산시스템
3. 독일의 유기돼지 생산
Ⅳ. 우리나라 유기양돈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1. 우리나라 유기축산 실태
2. 우리나라 유기양돈의 형태
Ⅴ. 유기양돈 활성화 방안
Ⅵ. 결 론
Reference
본문내용
국외의 많은 나라들은 유기축산 시행 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실현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유기축산의 시행 규모가 매우 미미하여 친환경 축산 수준으로 주로 무항생제, 친환경축산 인증, 분뇨의 자원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가축 보다는 소가축인 산란계나 육계를 중심으로 활성화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종별 친환경축산농가의 품질인증 농가 수나 다른 통계자료를 보았을 때 가장 뒤쳐져 있는 양돈을 중점을 두어 유기축산의 현황과 형태를 조사하고 유기축산(양돈)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생각해보도록 한다. 하지만 그것이 국제규격화에 맞춘 것이 아닌 한국 실정에 가장 경제적인 유기축산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되도록 하였다.
Ⅰ. 서 론
1970년대 급격한 산업사회의 발전과 함께 축산업도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다. 국민소득수준의 향상이 축산물의 수요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켰고, 사료용 곡물과 수입조사료의 가격이 비교적 안정되어 충분한 사료가 공급될 수 있었다. 또한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성 향상과 토지면적과 관계없이 사료가 공급될 수 있게 되면서 가축사육규모의 확대가 자유롭게 되었고 축산업은 동물의 권리와 복지를 도외시 한 채 생산성과 사료이용효율 극대화를 추구하는 밀집형 · 공장식 기업형 축산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것은 지역에 따른 가축사육밀도의 집중현상의 가속화, 가축분뇨의 대량발생, 전염병 발생 빈도의 증가, 경제적 수면단축 및 축산물의 안전성 결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져오게 되었고 세계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UN-Agenda 21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식량생산성을 저해하지 않는 농업의 구현’이라는 목표로 향후 농업과 농촌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의 움직임을 비추어 보았을 때 우리나라도 동물의 복지를 고려한 사육공간과 물질순환에 의하여 생산된 안전성이 높은 농후사료를 급여하는 사양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고, 반추동물은 지역의 농업형태에 따른 · 자원순환을 중시하는 생활양식,
참고 자료
권두중. 2008. “친환경(유기)축산의 현황 및 전망”
권오복. 2006. “한·미 FTA가 한국농업에 미치는 영향”.
김경량, 김석중. 2002. “세계 유기축산의 동향과 전망”
김창길. 2004. “친환경 양돈 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농촌진흥청. 2004. “국내외 유기 축산 관련연구동향분석”
맹요한, 박민수, 박우성, 서동균, 송금찬, 우수곤, 한성일. 2006. “지역순환형 유기축산 정착 활성화 방안 연구”
박민수, 송금찬, 정만철, 한성일. 2006. “외국의 유기축산 사례연구”
안종호. 2003. “우리나라 유기축산의 발전 방안”
이정민, 허덕. 2008. “미국산 쇠고기 수입확대의 파급영향과 시사점”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무항생제 축산환경 구축 가이드라인- 양돈축산업을 중심”
Christian R. Boessen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USA. 2001. "Organic Swine Production and Marketing in the Central United States-Present Situation and Farm Level Decision Factors"
Kumm, K. I. 2002. "Sustainability of organic meat production under Swedish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