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BSC관점에서 AHP기법을 이용한 신기술사업 선정에 관한 연구

*하*
최초 등록일
2009.10.16
최종 저작일
2007.01
17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2008년 2월에 작성한 본인의 박사학위 논문입니다.

목차

【국 문 초 록】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기대효과
제 3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4 절 논문의 구성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기술가치평가의 개요
1. 기술가치평가 개념
2. 기술가치평가 모형
제 2 절 기술가치평가 방법론
1. 정성적 평가방법
2. 정량적 평가방법
제 3 절 국내외 기관별 기술가치 평가방법
1. 국내기관의 기술가치 평가방법
2. 해외기관의 기술가치 평가방법
제 4 절 기술가치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제 5 절 균형성과지표(BSC)에 관한 연구
1. BSC 분석기법의 등장배경 및 개념
2. BSC의 4가지 관점
3. BSC 4가지 관점의 상호연계성
4. 기술가치평가에 대한 BSC 기법 적용의 적절성
5. BSC을 이용한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제 6 절 AHP 기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1. 우선순위 결정 방법
2. AHP를 활용한 평가항목의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3. 본 연구에서 유명기술 선정에 AHP의 적용
제 7 절 BSC 및 AHP를 적용한 기술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1. 안지은 외(2006) 연구
2. 김효근 외(2002) 연구
3. 이윤미 외(2005) 연구
4. 박기석 외(2006) 연구

제 3 장 기술가치평가 항목 개발 및 중요도 평가
제 1 절 BSC 기반 기술가치 평가항목의 도출
1. BSC 4가지 관점별 주요 기술가치평가 항목 도출
2. BSC 4가지 관점별 핵심 평가항목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
제 2 절 AHP를 이용한 일관성 검증
제 3 절 AHP를 이용한 기술가치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1. 1차 요인
2. 2차 요인
3. 요인의 중요도 종합

제 4 장 BSC관점의 측정지표의 유용성 검증
제 1 절 유용성 검증의 필요성
제 2 절 검증대상 및 방법
제 3 절 사례연구
1. 사례연구 설계
2. A 기술의 개관
3. B 기술의 개관
4. C 기술의 개관
5. D 기술의 개관
제 4 절 BSC관점의 측정지표를 통한 각 기술대안 비교
1. 재무 관점
2. 시장 관점
3. 내부 프로세스 관점
4. 연구개발 및 성장 관점
제 5 절 분석결과 종합
1. 관점별 4개 기술 비교
2. 평가항목의 상대적 가중치를 고려한 후 4개 기술 비교
3. 종합평가 결과 해석 및 정책적 제언

제 5 장 결 론
제 1 절 연구결과 및 요약
제 2 절 연구의 의의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 고 문 헌】
【 Abstract 】
<부록1> 1차 설문서
2차 설문서
3차 설문서

본문내용

핵심기술이 기업의 경쟁우위가 되는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금융거래, 투자유도, 기술담보 등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핵심기술의 가치를 정확히 평가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이 보유한 핵심기술의 정확한 평가는 기업간 인수․합병을 위한 기업가치의 산정, 기술담보를 통한 은행대출, 기업간 기술이전 등과 같은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이렇듯, 기술의 활용 및 기술 거래의 활성화를 위해 기술가치 평가는 매우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기술가치 평가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이익접근법, 비용접근법, 시장접근법 등에 기반한 정량적 가치평가법과 전략적인 요인의 평가가 가능한 정성적 가치평가법, 그리고 기여율, 할인율 개념 등을 도입한 복합적인 기술가치평가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국내외에서 기술가치평가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도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며, 관련 이론 및 평가방법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기술가치는 평가목적, 평가항목, 항목별 가중치에 따라 평가결과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어떠한 평가방법과 모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기술가치가 달라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술가치의 평가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검증된 방법이나 평가항목들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기 보다는 현재도 단순 평점법에 의하여 평가가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확하고 객관적인 방법에 의한 신기술의 가치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기술가치평가모형을 제시하고, 실제 기술가치 평가사례를 선정하여 이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벤처 및 중소기업을 육성시키는데 중요한 문제인 정확하고 공정한 기술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술가치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둘째, 이 모형을 구성하는 핵심 요인들과 세부 측정항목을 파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평가지표와 개발한 평가지표의 사례에 적용한 결과를 비교해 볼 수 있는 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감사원, 「감사결과처분요구서 : 지역산업 진흥산업 추진실태」, 2005. 3.
강병서,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2002. 8.
강효석․이원흠․조장연, 「기업가치평가론」, 홍문사, 2005. 3.
과학기술부, 「2006년도 특정평가 대상사업에 대한 사전 분석」, 2006. 2.
과학기술부, 「생산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관리 개선방안 연구」, 2006. 2.
과학기술부, 「연구사업 효율화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2004. 5.
과학기술부, 「해외 초일류기업의 기술경영(MOT) 실태 연구」, 2006. 2.
과학기술부, 「특정연구개발사업 특허 등 연구성과의 체계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004. 5.
과학기술부, 「연구개발 성과의 평가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표준평가지침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2005. 12.
과학기술원, 「2000 신기술창업종합지원사업」, 과학기술부, 200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부연구개발 평가제도의 연계 및 평가결과 활용방안」, 2006.
김인호, 「경영학 연구방법론」, 창지사, 1995. 2.
김의제, 「현대 기술경영․경제론」, 아진, 2007. 3.
김철교․이재용, 「가치평가론」, 두남, 2004. 7.
김형순, 「논문 10%만 고쳐써라!」, YAS MEDIA, 2005. 11.
바바라 민토, 이진원 옮김, 「논리의 기술」, 더난출판, 2006. 9.
바바라 민토, 이진원 옮김, 「논리적 글쓰기」, 더난출판, 2005. 7.
박동원․김광준․박순풍 공역, 「기업가치평가」, 경문사, 2005. 9.
박용태, 「기술과 경영」, 생능출판사, 2005. 11.
배상복, 「문장기술」, 랜덤하우스, 2007. 2.
부정방지대책위원회, 「벤처기업 육성정책의 제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정부의 재정지원 및 기금운용을 중심으로」, 2002.
사와다 아키오, 이명실 옮김, 「논문과 리포트 잘 쓰는 법」, 들린아침, 2005. 8.
산업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6년도 지역산업신기술보육사업 안내」, 2006. 5.
산업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2년도 지역산업진흥사업 종합평가보고서 : 광주 광산업」, 2002. 9.
산업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산업기술지원사업 성과분석 총괄보고서」, 2005. 7.
손수현․이성룡․정세호, 「기술사업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7. 7.
스티브 존스, 이재현 옮김, 「인터넷 연구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3.
신민철, 「사회연구방법의 기초」, 창민사, 2007. 5.
신용하, 「기술경영론」, 남양문화, 2005. 1.
오마에 겐이치․사이토 겐이치, 김영철 옮김, 「맥킨지 문제해결의 기술」, 일빛, 2005. 6.
오세경, 「벤처기업과 인터넷기업의 한국형 가치평가모형의 개발」, 한국금융연구원, 2002. 10.
윤석철, 「경영학의 진리체계」, 경문사, 2005. 12.
이순요․차균현․정인기․김윤상․안범준, 「전략적 기술경영」, 고운, 2004. 9.
이순용, 「생산관리론」, 법문사, 1991.
이승배․배종태․김정섭, 「생산전략과 기술경영」, 박영사, 2002. 5.
이영덕, 「신기술 사업화의 이해」, 두남, 2005. 6.
이우용․서창석․박영석, 「경영의 원론적 이슈와 경영학의 본질」, 형설출판사, 2002. 9.
이형석, 「실증연구방법」, 한경사, 2006. 10.
임호진, 「IT산업 정보시스템」, 한국학술정보(주), 2007. 6.
장성근, 「R&D 경영의 황금률, 새로운 제안」, 2002. 2.
장하늘, 「글고치기 전략」, 다산초당, 2007. 4.
정선양, 「기술과 경영」, 경문사, 2006. 6.
정선양, 「전략적 기술경영」, 박영사, 2007. 1.
정재용․황혜란․이병헌, 「공학기술과 경영」, 지호, 2006. 7.
정형지․홍대순, 「제3세대 R&D 그 이후」, 경덕출판사, 2007. 1.
조근태․조용곤․강현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2005. 8.
중소기업청․중소기업진흥공단, 「개별기술평가 모델 개발」, 1999. 11.
피터 보오, 박형근 옮김, 「테크놀로지 가치평가」, 지식과 경영, 2001. 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5 제2기 기술경영 전문가 양성과정 교재」, 2005. 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가치평가 연구」, 국무총리실 연구보고서, 200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래 유망기술 사업화아이템 선정 연구」, 2006. 2.
한국광산업진흥회, 「광산업 백서」, 성산인쇄사, 2005. 12.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 방안 연구」, 2000. 12.
한국기술거래소, 「M&A 전문가과정 교육교재」, 2006. 10.
한국기업․기술가치평가협회, 「기업․기술가치평가사 교육교재」, 2005. 9.
한성우, 「경계를 넘는 글쓰기」, 월인, 2006. 6.
고성일, “문화콘텐츠 기술가치의 영향요인과 평가제도 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고일상․이철승, “AHP를 이용한 CMS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9권 제4호, 2004.
과학기술부, “2000 신기술창업종합지원사업 : 기술가치평가모델 개발”, 연구성과지원사업 최종보고서, 2001.
권방현․황규승,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기술가치 전략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5 No. 1, 2003. 6.
김기석․김진수․김현우, “BPR 대상프로세스 선정을 위한 AHP 적용”, 경영․경제연구 제16권 제1호, 1997. 12.
김범수․장태우․신기태․박태우, “DEA와 BSC기법을 이용한 조직 효율성 비교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제28권 제2호, 2005. 6.
김병윤, “기술영향평가 개념에 대한 탐색 : 역사적 접근”, 기술혁신학회지 제6권 제3호, 2003. 12.
김병태․남영호, “BSC관점을 활용한 출연연구기관 평가제도의 수용성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8권 3호, 2005. 12.
김영춘, “기술가치의 평가에 대한 연구”, 기보저널 2004년 가을호, 2004. 10.
김왕동, “미래산업의 기술능력 축적과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2.
김용환, “기술혁신과 기술사업화에 관한 고찰”, 기술경영경제학회, 2005.
김재범․조용곤․조근태, “기술신용평가모형의 타당성 검증”, 2005.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05. 5.
김종범, “기술가치평가의 평가체제 및 평가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5권 제2호, 2001. 8.
김효근․이재연․강소라, “B2B e-Marketplace의 성과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재무적 성과 및 지식자산 성과관점에서”, 지식경영연구, 제3권 제1호,
2002년 6월, pp. 41-59.
김훈철․이병민, “기술지도를 활용한 국가연구개발 목표설정 및 자원배분 방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보고서, 1999.
김흥수, “기술가치평가 체제와 발전방향”, 기술혁신연구 제11권 제1호, 2003.
남인석, “계층적분석방법(AHP)을 활용한 정부 R&D사업 선정모형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2.
박근수, “벤처기업가치평가법 개발 현황과 과제”, 기보저널 2003년 여름호, 2003. Infomation Systems Review Vol. 5 No. 1, 2003. 6.
박기석․배병한․조규성, “AHP를 활용한 R&D부문의 BSC관점별 가중치 도출”, 경영교육논총 제42집, 2006. 4.
박동건․최대정, “창업자의 역량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3.
박성호, 조근태, 권철신, “기술의 상호영향을 고려한 기술가치평가모형의 개발”, 기술경영경제학회 학술발표회, Vol. 19, 2001.
박성호, “출원중인 발명에 대한 기술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박용태․박광만․윤병운․이용호․정세형, “첨단기술의 기술가치 평가방법론에 대한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학술발표회, Vol. 19, 2001.
박종오, “기술거래 확산을 위한 개별기술평가모델의 구상”, 과학기술정책, 1999. 4.
박주석․정호원․최경규, “공공부문의 정보화사업 평가를 위한 BSC기법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6권 제3호, 2005. 11.
박주형․김정흠, “연구개발사업 우선순위 설정에 있어서 다속성효용이론(MAUT)과 계층분석과정(AHP)의 비교”, 기술혁신학회지 제2권 제2호, 1999. 9.
박현우, “기술 라이센싱과 기술가치 평가정보 분석기법 연구”, 정보관리연구 제32권 제2호, 2001. 9.
박현우․정혜순․유선희, “기술이전을 위한 기술가치 평가모델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2001.
백동현․유선희․정혜순․설원식․홍길표․김헌, “기술이전거래 촉진을 위한 기술가치평가모형 및 웹기반 기술가치평가시스템 개발”,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6 No. 1, 2004. 6.
백승천,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지표 선정 및 가중치 설정 : BSC와 AHP의 활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8.
백온기, “특허기술가치평가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특허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변병문, “기술가치평가기법에 대한 검토 및 새로운 제안”, 평택대학교 학술저널, 2002.
백필규, “창조적 지식인의 역할과 실천방안”, 삼성경제연구소 심포지움/세미나 자료, 2004. 4.
서상혁, “국가연구개발과제의 평가관리와 이미지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학회지 제8권 특별호, 2005. 7.
설문수, “벤처기업 인증평가와 그 유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8.
설성수 외, “기초과학연구의 중점지원 분야 및 적정지원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과학재단, 1998.
설성수, “기술가치평가의 분석 틀”, 기술혁신학회지 제3권 제1호, 2000.
설성수, “기술가치평가의 개념적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3권 제2호, 2000.
설성수, “기술․기업가치평가기준의 철학과 구조”, 기술혁신학회지 제4권 제2호, 2001. 7.
설성수․박정민, “기술시장분석의 유형과 패턴”, 기술혁신학회지 제7권 제1호, 2004. 4.
설성수․허은영․김선근, “기술가치평가의 이론과 실제 : 서설”, 기술혁신학회지 제3권 제1호, 2000. 3.
성웅현, “기술기업의 기술가치평가시 위험조정 할인율의 결정”, 기술혁신학회지 제5권 제1호, 2002. 3.
성웅현, “기술종합지수를 이용한 기술등급평가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8권 제2호, 2005. 8.
손영수․고훈․신용태, “업체선정을 위한 기술평가 프로세스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1권 제8B호, 2006.
송위진․신태영, “기술혁신지원제도의 실효성에 관한 실증분석과 제도개선 방향”, 과학기술정책, 1999. 12.
송진홍, “기술평가 시장의 현황 및 국내외 기술평가 기관에 관한 비교연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
송학진, “연구개발프로젝트 선정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부산수산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신진, “기술가치평가시스템의 현황과 과제”, 감정평가논집 제Ⅹ집, 2000. 2.
안두현, “기술의 투자가치 분석방법 및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 2001.
안일준, “전략적 경영성과 측정치에 관한 연구 : BSC & DEA”, 경영연구 제20권 제2호, 2005.
안지은․한인구․서보밀,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B2B 전자시장 성과평가 모형 구축”,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06.
양동우, “벤처의 기술평가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4권 제1호, 2003. 6.
양동우, “실무차원의 기술가치 평가”, 기술혁신학회지 제3권, 2000.
양동우, “기술평가지표와 기업성과의 관계비교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8권 제3호, 2005. 12.
양동우, “초기 중소벤처의 기술혁신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2006.
양동우․서유화, “CT중소벤처 유의적 기술평가 항목추출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움, 2005.
양희승,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평가지표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4 춘계학술대회, 2004. 5.
연경남․이성종․이종현․송충한, “연구계획서 평가시 정량지표 도입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8권 제1호, 2005. 4.
오현택․양병태, “기술의 사업성 평가기준”,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Vol. 3, 2000.
용세중․최덕출․한종우․정용훈․이원영, “연구과제 선정․평가 체계설계에 관한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1994. 8.
유선희․정혜순․박현우, “과학기술 사업화 정보전략 지원을 위한 기술가치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Vol. 32, No.3/4, 2001.
유성희, “신제품개발을 위한 연구프로젝트 선정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1981. 12.
윤명환․한성호․최인준․류태범․권오채, “보유기술의 가치평가 방법론 및 기술가치 평가시스템”, IE Interface Vol. 15, No, 4, December 2002.
윤명환․이주환․최영준, “기술가치평가 : 기술통합에 의한 가치평가 방법론”,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 춘계공동학술대회, 2003. 5.
윤석철, “중소기업의 기술축적을 유도하기 위한 금융․세제 및 외환관리상의 정책개발을 위한 연구”, 중소기업은행, 1981. 12.
윤석철, “벤처기업의 기술경쟁력이 시장지향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2.
윤석환․강근복, “대형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의 체계적 도입방안”,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4호, 2003. 11.
윤재철, “정보기술 활용이 지방행정 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8.
음두찬, “기술가치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이도희․이종식, “BSC를 응용한 성과측정지표 가중치 산정과 활용”, 회계논집 Vol.1, 2000.
이동수․김종대․곽종민, “전자상거래기업의 기술평가와 재무성과의 상관관계”, 산업과 경영 제17권 제1호, 2004. 8.
이민형, “출연연구기관 BSC 모형 개발 : 개념적 모형 설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대회, 2005.
이무신, “연구개발과제 최종평가항목의 중요도와 평가요소의 가중치에 관한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1995.
이상석, “AHP를 이용한 창업보육센터의 평가에 관한 연구”, 경영과학회지 제19권 제1호, 2002. 5.
이상필, “개별기술 평가모델 개발”, 중소기업청, 1999.
이영걸, “AHP와 쓰루풋회계를 이용한 기술가치 평가모형의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8.
이영덕, “정보통신 기술의 상용화 성공요인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2권 제3호, 2004.
이영찬․한관순, “AHP를 이용한 기술기여도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공학회저널 제29권 제4호, 2006. 12.
이윤미․서의호․홍종의, “BSC를 이용하여 도출된 우리나라 ASP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하계통합학술대회 경영정보학회논문 Part, 2005.
이장우, “IT 유망 신산업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AHP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04. 11.
이장우, “IT 유망 신산업의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 AHP 모형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
이재덕, “혁신 중소기업(SW)을 위한 기업/기술 가치평가 동향”, SW 정책동향, 2005.
이재억, “회귀분석에 의한 기술가치예측모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2.
이정원, “정부연구개발 평가제도의 연계 및 평가결과 활용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이주환․신준석․박선영․최영준․윤명환․박용태, “실무형 기술가치평가 방법을 지원하는 기술서술 및 정성적 기술평가 기법 개발”,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03.
임득수, “기업(인터넷)의 기술/기업가치평가방안 연구”, 한국전자거래(CALS/EC)학회 종합학술대회, 2002.
임병학․박철수, “ANP와 DEA 결합모형을 통한 은행의 성과 평가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 춘계공동학술대회, 2003. 5.
임우진,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정착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
임은선, “계층분석과정(AHP) : 선택의 기로에서 합리적으로 판단하기”, 국토연구원, 2006. 4.
임호순․김대기․우영운․손명호, “기업전략에 따른 정보기술(IT) 투자의 효율성 평가를 위한 PCA-DEA 모형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4. 10.
임호순․유석천․김연성,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및 선정을 위한 DEA/AHP 통합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제24권 제4호, 1999. 12.
장양철․안병석, “AHP를 이용한 정보시스템 개발업체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5권 제3호, 2006. 12.
장은진, “AHP를 이용한 원자재 공급업체 선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2.
전성일, “코스닥시장에서의 무형자산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4권 제3호, 2002. 9.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연구보고서, “IT세부기술별 국내 기업체 현황분석”, 2001.
정상기․박지현․오동훈, “연구개발, 사업 및 과제의 특성을 반영한 표준 성과지표 구축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 10.
정성찬․함석동, “기술평가제도 개선방안 모색”, 산업재산권 제19호, 2006. 4.
조경선, “산업재산권 평가제도의 현황과 과제”, 산업재산권 제16호, pp.431-465, 2004. 11.
조근태, “기술대안의 전략적 평가를 위한 AHP 적용에 있어서 평가자 신뢰성을 고려한 가중치 통합”, 경영과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2. 11.
조근태․권철신, “기술의 상호영향을 고려한 기술가치평가모형의 개발”, 기술경영경제학회 학술발표회, Vol. 19, 2001.
조근태․홍순욱․조용곤․김동술․최현철, “정부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평가 :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사례”, 기술혁신학회지 제9권 3호, 2006. 9.
진성태․최상진․이덕기․박수억, “사전 기술가치평가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2003.
최덕원․이동욱․이동철, “BSC 전략맵 자료를 이용한 정보기술 투자평가 : 방법론과 사례연구”, 대한산업공학회 대한산업공학회지, 2005.
최락인․박종오, “개별기술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기술이전․거래 기준 제시를 위한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한국OA학회 논문지 제5권 제2호, 2000. 6.
최문정․정근하․이상엽․서혜원, “우리나라 중장기 전략기술의 수준평가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8권 제2호, 2005. 8.
최성호․문혜선, “국가기술사업화지표 개발방안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9권 1호, 2006. 3.
최용주, “연구개발 평가 및 관리시스템 개선 : 산업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4.
최태진․안승구․유왕진, “연구개발 종료과제의 추적평가에 관한 방법론 개발 및 적용”,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평가를 통한 중소․벤처기업지원 활성화방안”, 2003. 9.
한국과학기술평가원, “기업의 기술경쟁력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2000.
한국기술거래소, “지역산업신기술보육사업”, 2006년 신기술보육사업(TBI) 평가지표 및 매뉴얼, 2006.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연구개발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990. 10.
한하민, “전산교육훈련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8.
허순영, “기술경쟁력 평가모형 연구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8.
허은영, “환경오염 저감의 경제적 가치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하계 콜로퀴엄, 1998.
현병환, “기술의 경제적 가치평가”, 기술혁신학회지 제3권 제1호, 2000.
홍길표, “기술이전거래 촉진을 위한 기술가치평가모형 및 웹기반 기술가치평가시스템 개발”, 한국경영정보학회, 2001.
황규승, “AHP기법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경영논총(The Journal of Management) Vol.32 No.1, 1989.
황규승, “기술 가치평가 기법과 연구방향”, 경영학연구 제30권 제2호, 2001. 5.
ピ-タ-•ボイア-, 大上愼吾․松浦良行․中野誠․大薗惠美 譯, 「技術價値評價」, 日本經濟新聞社, 2006. 3.
Barney, J.,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 pp.99-120, 1991.
Chun-Chin Wei & Chen-Fu Chien & Mao-Jien J. Wang, “An AHP-based approach to ERP system selection”, Int. J. Production Economics, No. 96. 2005.
Chyan Yang & Jen-Bor Huang, “A decision model for IS outsourc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rmation Management, No. 20. 2000.
Copeland, T. and P. Keenan, “How Much Is Flexibility Worth?”, The Mkinsey Quarterly, No.2, 1998.
Dyer, J.S., “Remarks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33(3), pp.249-258, 1990.
Dyer, R.F. and Forman, E.H., “Group Decision Support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Decision Supply System, 8(3), pp.99-124, 1992.
Estelle M. Phillips․Derek S. Pugh, 정경원 옮김, 「박사학위 길잡이」, 인그라픽스, 2005. 5.
Jian-Jun Wang & De-Li Yang, “Using a hybrid multi-criteria decision aid method for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No. 34. 2007.
John D. Cone․Sharon L. Foster, 정옥분․임정하 옮김, 「학위논문작성법」, 시그마프레스, 2006. 3.
Gallupe, R.B. and Desanctis, G. and Dickson, G.W., “The Impact of Computer-Based Support on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Group Decision making”, MIS Quarterly, 12(2), pp.277-296, 1988.
Gloria E. Phillips-Wren & Eugene D. Hahn & Guisseppi A. Forgionne, “A multiple-criteria framework for evaluation of decision support systems”, The Internanal Journal of Management Science, No. Omega 32. 2004.
Godwin G. Udo,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analyze the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decision”,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No. 100/9. 2000.
Gordon V. Smith․Russel L. Parr, (주)테크밸류 역, 「지적재산과 무형자산의 가치평가」, 세창출판사, 2000. 8.
Guisseppi A. Forgionne & Rajiv Kohli & Darniet Jennings, “An AHP analysis of quality in AI and DSS journal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Science, No. Omega 30. 2002.
Kaplan, R. S., 「The Balanced Scorecard or Public-Sector Organizations 」, Balanced Scorecard Collative, HBS Publishing, 1999.
Kaplan, R. S. & Norton, D. P.,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BR, pp.71-79, 1992.
Kaplan, R. S. & Norton, D. P., “Putt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Work”, HBR, pp.134-142, 1993.
Kaplan, R. S. & Norton, D. P., 「The Balanced Scorecard」HBS Press, 1996.
Kaplan, R. S. & Norton, D. P.,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BR, pp.75-85, 1996.
Kaplan, R. S. & Norton, D. P., “The Strategy-Focused Organization : How Balanced Scorecard Companies Thrive in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1.
Kim, H.K. & Seong, E.S. 「BSC Practice Manual」, Sigma Insight Pub. Co.. 2001.
Kim, Jeongyu, 「IT investment evaluation methods and the applications」, working paper, 28, e-bizgroup, 2001.
MaGrath, R. G., “A Real Options Logic for Initiating Technology Positioning Investments”, Acamedy of Management Review, Vol. 22. No4, 1997.
Hall D.L. and Nauda A., “An Interactive Appoach for Selecting IR&D Projects”, IEEE, Transactions, EM, Vol. 37. No. 2, 1990.
HR연구소, 양영철 옮김, 「컨셉」, 거름, 2003. 12.
Reily, Robert F., Robert P. Schweihs, 「The Handbook of Advanced Business Valuation」, New York : McGraw-Hill, 1998.
Robert Handfield & Steven V. Walton & Robert Sroufe & Steven A. Melnyk, “Applying environmental criteria to supplier assessment: A study in the application of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No. 141. 2002.
Robert K.Yin, 신경식 외 옮김,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05. 8.
Smith, G.V. and Russel L. Parr, “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Intangible Assets”, New York : John Wiley &Sons, 1994.
Souder, E. W., “A System or Using R&D Project Evaluation Methods”, Research Management, Vol. 21 No.5, 1978.
Tomas L. Saaty,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Vol. 15, No.3, 1977.
Tomas L.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Inc., 1980.
Tomas L. Saaty, Luis G. Vargas, 「The Logic of Priorities」, Kluwer-Nijhoff Publishing, 1982.
Tomas L. Saaty, “Priority Setting in Complex Problems”, IEEE Transaction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EM-30 No. 3. 1983.
Vincent S. Lai & Bo K. Wong & Waiman Cheung, “Group decision making in a multiple criteria environment : A case using the AHP in software selection”,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No. 137. 2002.
Y. L Chan & B. E. Lynn, “Performance Evaluat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Fall 1991.
Zahedi, F., “The AHP : A survey of the Method and its Applications”, Interface, 1986.
http://www.brint.com/members/online/120205/jackson/
NTTC, http://iridium.nttc.edu/topindex, 2007. 9.
http://www.elsevier.nl/locate/lrp Butler, Alan Letza, Steve R, “Linking the balance scorecard to strategy”, Long range planning , Vol.30 No.2, 1997.
한국생산성본부, AHP기법을 활용한 개선대안의 선택, 2007. 11.(인터넷자료)
2007년 광주일보 등 일간신문의 광산업 관련기사.
(광주일보 2007. 2. 20, 6. 19, 7. 11, 7. 19)
(광주매일 2007. 9. 3)
(전자신문 2007. 3. 26, 5. 16, 7. 16, 9. 4, 10. 1)
(무등일보 2007. 8. 24)
(전남일보 2007. 6. 11, 6. 25)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BSC관점에서 AHP기법을 이용한 신기술사업 선정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