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A Study of Restorative Justice from Victims` Perspective and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it into South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창*
최초 등록일
2009.06.15
최종 저작일
2004.09
8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무료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소개글

피해자학이 등장하게 된 학문적 제도적 과정을 살펴보고, 피해자의 관점에서 본 회복적 사법의 유용성 및 이를 토대로 한 각국의 제도가 어떤 취지로 도입, 활용되고 있는지, 그 과정에서 범죄 피해자에게 어떤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후, 그러한 제도 내지는 유사한 제도를 우리나라의 사법제도에 도입하여 효과를 거둘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고찰

목차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SUBJECTS OF ENQUIRY
Ⅲ CRITICAL ISSUES IN VICTIMOLOGY
1. ORIGINS OF THE VICTIMOLOGY
2. DEVELOPMENT OF SCIENTIFIC METHODS FOR THE EXCAVATION OF HIDDEN CRIME
3. CRITICAL POINT OF VIEW AGAINST WIDER SCALE VICTIM SURVEY
4. VICTIMS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Ⅳ RESTORATION OF WHAT HAS BEEN INFLICTED ON THE VICTIM

1. CONCERNS FOR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IN DEALING WITH CRIME VICTIMS
2. DEFINITION OF RESTORATIVE JUSTICE
3. ORIGIN AND PHILOSOPHY OF RESTORATIVE JUSTICE
4. CRITICAL ISSUES IN RESTORATIVE JUSTICE
Ⅴ RECENT TRENDS IN POLICY INITIATIVES IN DIFFERENT SOCIETIES

1. NEW ZEALAND FAMILY GROUP CONFERENCING
2. FAMILY CONFERENCING IN WAGGA WAGGA IN SOUTH WALES, AUSTRALIA
3. RESTORATIVE CAUTIONING IN ENGLAND AND WALES

Ⅵ VICTIM SUPPOR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SOUTH KOREA

1. LEGAL APPROACH TO THE VICTIM SUPPORT
1-1. THE RIGHT OF VICTIM STATEMENT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1-2. RESTITUTIONAL POLICY AND ITS UTILIZATION

2. THE ABSENCE OF CONFRONTATION BETWEEN OFFENDER AND VICTIM IN YOUTH JUSTICE
2-1. YOUTH OFFENDERS IN SOUTH KOREA
2-2. THE LACK OF A VICTIM`S ROL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Ⅶ CONCLUSION

본문내용

SUMMARY

Victims, who are the initiator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have not been acknowledged and treated so well by the public agencies for quite a long time. They have also been given not much attention by the academic field. However,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change the situation.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victimology has functioned as an axis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various policy initiatives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philosophy have been introduced in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as a way to keep the balance between victims and offenders. Critical issues in victimology are discussed and empirical research results are reviewed. Most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victims feel satisfied with the outcome of restorative justice initiatives.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restorative justice in South Korea, youth crime data is analysed. The analysis shows that a strategy of early diversion of youth offenders has been adopted in criminal policy. It would be a great benefit to victims if restorative justice philosophy would be introduced and combined with the diversion strategy in South Korea.

참고 자료

없음
*창*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A Study of Restorative Justice from Victims` Perspective and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it into South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