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근현대속의한국][방송통신대학교] 근현대속의한국 교재 전체를 참조하여 일제강점기(일제시기) 사회의 모습을 설명해주세요.
[과제명]
답안을 작성하기 전에 반드시 문제 내용 확인!, <과제 작성 시 지시사항> 읽어주세요!
1. 아래 문제 내용에 대하여 답안을 작성해주세요. (총 4문제, 문제별 점수 배정함, 총 50점)
⑴ 근현대 속의 한국 교재 전체를 참조하여 일제강점기(일제시기) 사회의 모습을 설명해주세요. (15점) (예) 도시경관, 교통수단, 의·식·주 등
⑵ 근현대 속의 한국 교재 전체를 참조하여 일제강점기(일제시기) 한국인의 모습을 설명해주세요. (15점)
⑶ ⑴번 ⑵번 문제의 답안을 근거로 일제강점기(일제시기)는 어떤 사회였는지, 내가 생각하는 일제강점기(일제시기) 사회상을 적어주세요. (15점)
⑷ 과제물 말미에 ⑴번과 ⑵번 답안을 작성하면서 활용하신 교재의 쪽수를 적어주세요(5개 이상). (5점)
목차
1번 문제: 일제강점기 사회의 모습
2번 문제: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모습
3번 문제: 내가 생각하는 일제강점기의 사회상
4번 문제: 활용한 교재의 쪽수
본문내용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차는 일반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 잡는다. 전차는 사람들의 행동양식도 변화시킨다. 전차 안에서는 반상의 구별이 사라지고 교통사고의 개념이 생기면서 양반처럼 느긋하게 걷는 방식의 위험성이 제기된다. 전차 승객의 예절을 강조하는 도덕 8훈도 제시된다. 1920년대에 들여서면서 경성에는 교통지옥이라는 말이 유행한다. 1920년대에 접어들면서 자동차가 들어오기도 했지만 인력거는 가장 보편적인 운송수단이었다. 또한 경성에서는 자전가가 교통수단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1920년대에는 자동차의 수가 늘어나면서 자동차 운전사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강습소도 많이 생긴다. 1928년부터는 시내버스 운행도 시작된다. 자동차가 등장한 이후 택시업도 시작되지만 조선 사람들에게 택시는 사치스러운 교통수단으로 인식된다.
1910년대만 하더라도 양복을 입는 사람들은 상류층에 한정되었으나 1920년대에 접어들면서 양복은 일반 사람에게도 퍼져나간다. 또한 1930년대에 유학생이 들어오면서 양복이 크게 유행한다. 1910년대에는 한복개량운동이 일어나지만 여전히 남성들은 양복을 선택했고 엘리트층인 신여성의 경우 개량 한복을 입었다.
참고 자료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14~15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17~22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27~28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30~31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33~35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33~35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33~35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36~40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42~43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46~47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57~61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65~69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83~85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88~89쪽
송찬섭·최규진 공저, 『근현대 속의 한국』,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93~9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