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학과 | 농학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재배식물육종학 | 자료 | 11건 |
공통 |
유전자원 보존현황과 보호체계에 대해 조사하시오. (우리나라 포함 5개국 이상, 최근10년 이내 자료) (30점)
유전자원 보존현황과 보호체계에 대해 조사하시오. (우리나라 포함 5개국 이상, 최근10년 이내 자료) (30점)
|
소개글
"재배식물육종학 방통대 농학과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유전자원 보존현황과 보호체계에 대해 조사하시오.
1) 우리나라 유전자원 보존현황 및 보호체계
2) 미국 유전자원 보존현황 및 보호체계
3) 일본 유전자원 보존현황 및 보호체계
4) 러시아 유전자원 보존현황 및 보호체계
5) 필리핀 유전자원 보존현황 및 보호체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유전자원이란, 식물이나 동물, 미생물 그리고 DNA 등의 고유특성을 다음 세대에 전달할 수 있는 유전물질이다. 지금의 유전자원들은 지난 몇억 년 동안 변화하고 진화되면서 축적된 생명체로 인류의 삶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와 인구증가, 산업화 등으로 유전자원의 다양성이 급속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렇게 유전자원의 다양성이 계속해서 감소하게 된다면 생태계가 불안정해지고 결국 평형상태가 무너지게 되어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우리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이 찾아올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류가 주식으로 의존하고 있는 벼, 보리, 밀, 옥수수, 조 등의 한정적인 작물에만 재배가 집중되어 유전적 침식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예상하지 못한 병해충과 자연재해의 발생으로 생물자원의 소실이 커지고 있어 앞으로는 생물종 전체의 3분의 1이 없어질 전망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에 세계 각국은 유전자원의 다양성을 보존하고 인류의 식량안보를 위해 여러 방면으로 노력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에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일본, 러시아, 필리핀 총 5개국의 유전자원 보존현황과 보호체계에 대해 조사해보겠다.
Ⅱ. 본론
1. 우리나라 유전자원 보존현황 및 보호체계
우리나라는 작물 개별로 다양한 시험장에서 수집 및 보존하고 있던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에서 1975년부터 통합보존관리하기 시작하였다. 1988년, 현대식 종자저장시설을 재정비하면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유전자원에 대한 수집 및 보존과 교환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1992년부터 우리나라의 체계적인 유전자원 연구가 시작되었다. 수집된 유전자원을 등록하고 보존하는 일련의 관리를 비롯하여 임시번호 등의 관리체계가 개선되었는데 종자의 경우에는 산간, 해안, 도시 등으로 구분하여 지리적으로 재래종의 수집이 이루어졌다. 1991년부터 2000년까지 10년 동안에는 재래종 19,225점을 전 지역에서 수집하였다. 하지만 생물 다양성 협약 이후 각국의 유전자원 보호 강화로 유전자원을 도입하거나 해외로부터 수집하는 것은 점차 어려워져 1987년 이후부터의 도입이 크게 감소하였다.
참고 자료
곽육보. 2023. 「유전자원 출처공개 및 보호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33-43.곽육보. 2019. 「중국의 생물유전자원 정책 및 개발 동향」.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2-8.
류수노 외 1인. 2021. 『재배학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문화출판원.
류수노 외 1인. 2021. 『자원식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문화출판원.
박교선 외 7인. 2020. 「농업유전자원센터의 유전자원 보존 및 활용 연구 현황」. 한국농림기상학회지. 44-49.
박순직 외 2인. 2002. 『재배식물육종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문화출판원.
성정숙 외 7인. 2014. 「필리핀 식물유전자원의 다양성 및 관리체계」.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88-395.
손은호 외 3인. 2016. 「러시아 바빌로프유전자원연구소의 식물유전자원의 관리현황」.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7-14.
이정윤 외 1인. 2014. 「미국 국립유전자원보존센터(NCGRP)의 식물자원 장기보존 시스템」. 한국종자연구회.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