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정책론)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의
- 최초 등록일
- 2025.01.17
- 최종 저작일
- 2025.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교과목명: 스포츠정책론
[과제명] 아래의 두 문제 중 하나의 문제를 선택하여 답안을 작성하세요.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의 남북스포츠교류협력에 대해 서술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이 생각하는 미래의 남북스포츠교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서술하시오. (30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남북스포츠교류협력의 역사
1) 김대중ㆍ노무현 정부의 남북스포츠교류협력
2)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의 남북스포츠교류협력
3) 문재인 정부의 남북스포츠교류협력
2. 미래의 남북스포츠교류 활성화를 위한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포츠는 외교적 수단으로서 공동체의 분할과 갈등을 통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포츠교류는 특별한 정치적 이념과는 무관하게 교류 당사자들의 소통을 증진시키며 인간의 본질적 교감의 장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미 미국과 중국,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스포츠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스포츠교류의 기능적 역할과 관련된 기대는 남한과 북한의 관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스포츠교류를 통해서 민족의식, 동포에, 민족정체성을 정립시킬 수 있고 스포츠교류와 다양한 분야의 교류가 양국 간 기능적 통합 가능성을 높이며 나아가 한반도 평화정착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포츠교류가 남북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디딤돌이자 선구적 도구로도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역대 정부들에서도 남북스포츠교류협력을 통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는데 본론에서는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의 남북스포츠교류협력에 대해 설명하고 미래 남북스포츠교류협력 방안 방안을 논할 것이다.
참고 자료
김동선(2016).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남북 스포츠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체육사학회지.
김재운(2016). 남북스포츠교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민두식, 김미숙(2018).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비판적 고찰을 통한 정책적 발전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2019). 남북 스포츠교류의 활성화 방안.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스포츠정책론 교재(성문정, 박상현, KNOU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