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사료학) 생균제는 살아있는 유익균으로, 가축에게 급여 시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시켜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교과목명: 동물사료학[과제명] 생균제는 살아있는 유익균으로, 가축에게 급여 시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시켜 유익한 효과를 주는 미생물을 말하는 것으로, 사료 첨가제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균제의 종류, 조건, 작용기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0점)
목차
Ⅰ.서론Ⅱ.본론
1.생균제 개념
2.생균제의 종류
1)박테리아성 생균제
2)곰팡이성 생균제
3)효모제
3.생균제의 조건
4.생균제의 작용기작
1)유해균의 장관벽 부착 방지
2)유기산 생산
3)항균물질 생산
4)효소의 생산
5)면역력 증가
6)비타민 합성
7)독성물질 분해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생균제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말하는 것으로 흔히 프로바이오틱스라고 부른다. 요즘에는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시켜야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여 다양한 생균제가 들어간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생균제는 사람뿐만 아니라 가축의 사육에도 사용되고 있다. 병을 막기 위해서 항생제를 사용하여 가축을 기르게 되면 병원성 미생물로 인하여 인간에게도 유해할 수 있다. 따라서 요즘에는 가축에게 항생제를 주지 않고 생균제를 첨가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막고 있다. 이러한 가축용 생균제는 주로 가축 사료에 함께 첨가되어 가축들이 먹게 된다. 생균제는 가축의 위를 통과하여 장으로 가 병원성 미생물들이 점막에 붙는 것을 막는다. 생균제는 질병의 예방 뿐만 아니라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가축사료에 첨가되는 생균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론을 통해 생균제에 대해 알아보고 생균제의 종류와 작용기작 등에 대해 서술해 보겠다.참고 자료
윤석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를 기초로 한 생균제 첨가가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김상훈, [기고] 생균제? 효모?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 (1), 돼지와사람, 2021.06.24.
http://www.pigpeople.net/news/article.html?no=9864
사료학 / 이효원 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