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화의 개념을 관념론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방식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 문화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관념론적 관점에서의 문화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관념론적 관점에서 문화는 물질적인 요소보다 인간의 정신적, 내면적, 그리고 이상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인간의 사고와 의식, 가치관, 이념 등을 문화를 만드는 중요 요소로 보며, 물리적 환경이나 사회적 조건보다는 인간의 정신 활동의 산물로 문화를 이해한다. 문화가 단순히 사회적 행동이나 물질적 성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관념과 이상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표출된다고 보는 것이다.
(1) 관념론적 문화 개념의 기본 특징
관념론적 관점은 철학적 사조 중 하나로, 특히 플라톤과 칸트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으며, 물질적 현실보다 인간의 이념과 정신적 차원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플라톤은 ‘이데아’의 세계를 강조하며, 물질세계는 불완전하고 변할 수 있지만,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완전한 이념적 세계가 존재한다고 보았고 이러한 관점은 문화에 대한 관념론적 접근에도 적용된다.
이에 따르면 물리적 환경보다 인간의 정신적 상태, 가치관, 철학적 사고가 문화를 형성된다. 문화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인간의 내면적 세계에서 출발하며,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만의 고유한 문화적 세계를 만들어낸다. 또한 문화는 인간이 가진 내적 사고와 가치 체계를 반영한 결과물로 간주하며, 물질적인 결과물은 단지 이러한 정신적 산물의 표출에 불과하며, 문화의 본질은 그 기저에 있는 관념과 이상에서 출발한다고 본다.
특정 사회가 공유하는 가치관과 신념이 문화를 형성하는 주요한 동력이라고 강조한다. 이는 경제적 조건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지 않고, 인간이 추구하는 이상과 정신적 목표가 사회의 문화를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 김윤태, 김문조, 『문화사회학의 이해』, 세창문화사, 2020
· 가메야마 요시아키, 『문화사회학으로의 초대』, 이화여자대학출판부, 2004
· 앨런 스윈지우드, 『문화사회학 이론을 항햐여』, 한울아카데미, 2019
· 한국문화사회학회, 『문화사회학』, 살림, 2012
· 신성철, 신종우, 정희정, 정성옥, 이동성, 『청소년문화론』, 정민사, 2024
· 백현옥, 『청소년문화론』, 박영스토리, 2022
· 장수한, 『청소년문화론』, 공동체, 2020
· 조혜영, 김민, 방은령, 길은배, 서우석, 『청소년문화론』, 교육과학사, 2024
· 김상범, 박선희, 박주현, 안명선, 천정웅,『청소년문화론』, 양성원, 2022
· 조민식, 신성철, 신종우, 정희정, 김윤진, 이동성, 『청소년문화론』, 정민사, 2018
· 김민, 조혜영, 이영란,『청소년문화』, 창지사, 2023
· 소경섭,『청소년 비행의 모든 것』, 하움출판사, 2024
· 이완희, 황성현, 이창한, 문준섭,『한국청소년비행학』, 피앤씨미디어, 2017
· 이윤호, 이승욱, 『청소년 비행론』, 박영사, 2023
· 이현림, 홍상욱, 채선화, 이지민, 김순옥, 『청소년 비행과 상담』, 교육과학사, 2015
· 정혜원, 『청소년 비행의 그 시작과 예방』, 한국학술정보, 2010
· 카베리 수브라맨얌,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읽기』, 에코리브르, 2014
· 전희일, 『현대사회와 청소년』, 양서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