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교육)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에 관해 설명하고, 현재 교육장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활지도의 현황과 문제점
- 최초 등록일
- 2024.08.28
- 최종 저작일
- 2024.07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과목명: 인간과교육
<과제명>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에 관해 설명하고, 현재 교육장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활지도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해 의견을 피력하시오. (39점 만점)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현대사회에서의 교육
2. 생활지도의 이해
1) 생활지도의 개념
2) 생활지도의 양상
3) 생활지도의 목표
가.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
나. 잠재가능성 실현
다. 자율적 문제해결능력의 함양
라. 전인적 발달 촉진 및 건전한 사회인 육성
3.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
1) 학생 이해 활동
가. 표준화 검사
나. 비표준화 검사
2) 진로지도 활동
3) 정보제공 활동
4) 상담활동
4. 생활지도의 현실(현황 및 문제점)
5. 생활지도의 개선 방안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현대 사회는 인간성 상실이 매우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아무 이유 없이 다른 사람에게 흉기를 휘둘러 다수의 사람들을 다치게 하는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범죄가 성행하는가 하면, 상대방에게 애정을 빌미로 폭력과 억압을 강요하는 데이트 폭력이나 스토킹 범죄 사건들이 언론을 통해 종종 보도된다. 이런 사건에 대한 보도를 볼 때면 비록 그들의 나이는 성인일지라도 성숙한 인격체가 되지 못한, 미완의 존재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쉽게 말해서 학교에서, 가정에서 어떤 교육을 받으며 자랐기에 저런 상식 밖의 일을 하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길 정도이다. 학교는 가정과 더불어 건강하고 바람직한 사회 구성원을 길러내는 기관이다. 그런데 오늘날 과연 학교는 이런 역할을 하고 있을까. 학교에서 교권이 추락한 지 오래 된 일이며, 교우들 사이에서의 폭력이나 따돌림은 도를 넘어 강력 범죄의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이런 암울한 상황일수록 학교의 기능을 회복해서 건강한 사회 구성원을 길러내야 할 책임을 더욱 크게 느끼게 된다. 학교에서의 ‘전인교육’이 필요하고 또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아래에서는 학교에서 전인교육을 실시하는 핵심적인 활동인 생활지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생활지도란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인지에 대대해 살펴보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생활지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기에는 어떤 문제가 있으며 이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기로 하겠다.
II. 본론
1. 현대사회에서의 교육
교육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가르쳐 기른다’라는 의미이다. 교육은 인간의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고 교정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인격을 완성하고 바람직하며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인간은 자연 상태에서는 법이나 규범, 도덕, 생활양식, 사회의 가치관 따위를 알지 못한다.
참고 자료
이성희, “코로나가 환기시킨 공교육의 존재 의미... 학교가 준 건 지식 그 이상이었다.”, 2020.7.2. 경향신문
조성철, “교총, ‘진정한 참교육은 인성교육’”, 2014.8.11.한국교육신문
박미나, 2013, 학교상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