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2019년부터 정부는 다문화 유치원, 다문화 중점학교, 예비학교 등을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육학과, 유아교육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교육사회학 | 자료 | 46건 |
공통 |
2019년부터 정부는 다문화 유치원, 다문화 중점학교, 예비학교 등을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로 통합하였습니다. 이 중 유치원의 경우, 다문화유아의 언어발달을 통합교육 형태로 지원하고 전체 유아 및 학부모 대상 다문화교육을 운영...
2019년부터 정부는 다문화 유치원, 다문화 중점학교, 예비학교 등을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로 통합하였습니다. 이 중 유치원의 경우, 다문화유아의 언어발달을 통합교육 형태로 지원하고 전체 유아 및 학부모 대상 다문화교육을 운영하도록 되어 있으며, 중도입국 및 외국인 유아가 다수 재학할 경우 한국어 학급을 두어 유아기부터 맞춤형 한국어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1)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의 대상과 필요성을 자신의 견해로 정의해보고 (1.5~2 페이지 정도) 2) 이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부모, 교사, 또는 지역주민 대상으로 필요한 교육을 제시하시오. (1.5~2 페이지 정도) ※ 2번은 부모교육, 교사교육, 또는 지역주민교육 셋 중 하나만 창의적으로 제시하면 됩니다. |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교과목명: 교육사회학[과제명] 2019년부터 정부는 다문화 유치원, 다문화 중점학교, 예비학교 등을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로 통합하였습니다. 이 중 유치원의 경우, 다문화유아의 언어발달을 통합교육 형태로 지원하고 전체 유아 및 학부모 대상 다문화교육을 운영하도록 되어 있으며, 중도입국 및 외국인 유아가 다수 재학할 경우 한국어 학급을 두어 유아기부터 맞춤형 한국어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1)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의 대상과 필요성을 자신의 견해로 정의해보고
2) 이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부모, 교사, 또는 지역주민 대상으로 필요한 교육을 제시하시오.
※ 2번은 부모교육, 교사교육, 또는 지역주민교육 셋 중 하나만 창의적으로 제시하면 됩니다.
목차
1.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의 대상과 필요성에 대한 견해2. 위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 필요한 부모 교육
본문내용
1.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의 대상과 필요성에 대한 견해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국내로 이주하는 이주민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문화 사회가 형성되었다. 특히 결혼이민자처럼 정주형 이민자 수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고, 한국 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코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었다. 그에 따라 한국에서의 원활한 생활을 위해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정주형 이민자 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도 한국어 교육의 주요 대상이 되었다. 이외에도 학업, 직업 등의 이유로 국내로 유입된 외국인들이 한국 사회에서의 원활한 생활을 위해 한국어를 학습하게 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외국인이 한국에서 삶을 영위하는 것에 있어서는 한국 문화를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는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까지 포함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읽기나 듣기 텍스트에서 문화를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그것이 발현되는 것이다. 아울러 최근에는 진정한 의미의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참고 자료
교재 1부: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배경 (1-5장)중앙다문화교육센터·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 2020 다문화교육정책학교 운영가이드라인 한국어학급(유치원).
배세희(2023). 다문화 유아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 : 만 3세에서 5세 유아 대상.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김지연(2023). 다문화 교육 정책학교(유치원)의 다문화가정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숙조(2021).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가정연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 그림책을 활용하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진은하(2021). 다문화 가정 부모와 학령 전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박예슬(2020). 다문화 교육 정책학교의 유아 대상 한국어 교육 개선 방안 연구 : 경기, 인천 지역 유치원, 한국어 학급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