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상담과교육) 장애인 지원과 관련하여 평생교육에서 기여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한 후, 선정의 이유와 근거를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교과목명: 장애인상담과교육[과제명]
1) 장애인 지원과 관련하여 평생교육에서 기여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한 후, 선정의 이유와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3장 이상).
2) 1번에서 다룬 주제와 관련된 법규와 실제 평생교육 사례를 찾아 소개하십시오(총 3장 이상).
목차
1. 장애인 디지털 교육1) 장애인 디지털 리터리시의 필요성
(1) 장애인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
(2) 평생학습차원에서 장애인 디지털 리터리시
2) 장애인 디지털 교육 관련 법안
2. 장애인 디지털 교육관련 사례
1) 국내 사례
(1) 주요 프로그램
① 랜선퀴즈왕
② 누리go즐기go
③ 주간서농북
④ 수라디오
⑤ 키오스크 교육
⑥ 수어영상도서관
⑦ 서농북VJ
⑧ 삐뽀삐뽀 스마트폰 특강
⑨ 컴퓨터 교육, 영상편집교육
⑩ 날아라 드론
(2) 국내 사례 분석
2) 해외 사례
(1) 영국의 루이샴 사례
(2) 해외 사례 분석
3.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사회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상에서 보편화 되었다. 이로 인해 정보통신망에 접근하기 힘든 사람들은 정보의 입수, 교환, 전달 측면에서 불리해졌는데 특히 장애인은 디지털 환경에 대한 접근 및 이용성이 떨어지면서 일반 국민과의 디지털 격차는 심해지고 있다(강기봉, 2021). 앞으로는 4차산업혁명으로 인해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일상의 보편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디지털 격차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디지털 격차는 현상 자체도 문제라고 할 수 있지만 디지털이 인간의 전반적인 생활 모든 분야와 관련이 있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서 문제가 더욱 질 수 있다(이기호, 2019). 이처럼 디지털로 연결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장애인도 기술 혜택을 누려야 할 것이다.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 디지털 정보 격차 실태조사 결과 일반 국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100%로 가정했을 때 장애인 계층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82.2%로 나타나기도 하였다(과학기술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지흥원, 2022).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서 장애인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통해 디지털 포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사회정책의 중요 목표로 자리잡고 있다. 정보화 사회가 진전되고 4차 산업혁명이 촉진되면서 사회서비스와 관련된 정보가 직접적인 대면 접촉 또는 인쇄물을 통해서 제공하기 보다 인터넷 환경을 통해서 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는 대면서비스와 함께 비대면 서비스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이동석, 2021).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격차를 줄이고 디지털 포용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은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 장애인이 디지털 기기에 접근할 수 있는 보조공학기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장애인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중 장애인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차원에서 디지털 리터리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송지향, 김동욱(2014). 장애인의 스마트기기 사용능력 및 활용도에 관한 연구 -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의 효과를 중심으로 -. 정보화정책.전종호, 이철현, 이영민, 이남철, 오관택(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직업계고 디지털역량 교육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배영임(2021). 비대면 시대의 그림자, 디지털 소외. 경기연구원.
이동석(2021). 영국의 디지털 포용 정책과 비대면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함의. 국제사회보장리뷰.
이윤진, 김남숙(2022).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고령학습자의디지털 리터러시와 평생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서원선, 전우천, 이선화(2022). 디지털 시대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이동석(2023). 장애인 디지털 격차 현실 및 격차 해소를 위한 제언. 참여연대.
강민호(2023). 장애인에 대한 디지털기기 사용 방법 교육 제공이 필요한 이유. 에이블뉴스.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LSW//ma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