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불평등 ) 의료기술 꾸준한 발전과 건강 지식 보급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건강 불평등은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뿐더러 심지어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심
- 최초 등록일
- 2024.08.06
- 최종 저작일
- 2024.07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4,75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① 건강과 건강불평등에 대한 이해
② 건강불평등 문제의 원인
③ 한국의 건강불평등
Ⅲ. 결론 - 건강불평등의 해결방안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이유로 시작된 전공의들의 파업과 집단 이탈이 3개월이 지나고 있다. 그동안 경미한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들부터 신속한 항암치료가 필요한 환자들 등 중환자들에 이르기까지 많은 국민들이 피해를 겪고 있다.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상황임에도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의해 필요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국민들은 응급실에서 거부 당해 사망에까지 이르는 등 환자들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2025년 의대 정원 1509명으로 증원을 확정했지만 교수들을 비롯한 전공의들의 태도는 여전하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대 증원은 불가피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국민들 모두가 공감하는 사안이며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적절한 제도라고 생각하지만, 의료계는 ‘의료 붕괴’를 주장하며 계속해서 반대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의대 정원 이슈가 내내 화제의 중심에 있지만 정부의 의료 개혁은 이뿐만이 아니다. 그리고 정부의 이러한 개혁은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는 건강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의료기술의 무궁무진한 발전이 기대되는 현대사회에서 건강불평등이 여전히 우리 사회 속에서 만연하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가 왜 아직까지 해결되고 있지 않은 것인지,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본론
① 건강과 건강불평등에 대한 이해
건강불평등의 개념과 실태 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건강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전적인 의미의 건강뿐만 아니라 건강은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다. 영국의 학자 마이클 캘넌은 건강을 부정적인 의미와 긍정적인 의미로 정의한다. 부정적인 의미는 의학적인 시각에서 일치하는데 이때의 건강은 단순히 질병을 갖고 있지 않은 형태를 의미한다. 긍정적인 의미는 세계보건기구(WHO) 헌장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사회문제론 강의안 자료, 6강
이훈희, 『한국 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사회경제적 지위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2015, https://www.riss.kr/link?id=T13693256
조정완,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수준 결정요인과 건강불평등 분석』,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2022, https://www.riss.kr/link?id=T16069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