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의 가운데 가장 의미 있다고 생각되는 한 주차 강의
2. 다문화 교육 전문가 역량의 각 영역 및 전문가로서의 자신의 역량 분석
3. 다문화 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장단점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강의 가운데 가장 의미 있다고 생각되는 한 주차 강의
처음 다문화 교육이라고 들었을 때는 ‘인종차별을 하지 않기 위한 것‘, ’동남아나 아프리카에서 온 백인 이외의 인종을 비하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 정도로 단순하게 생각했지만, 총 14강의 강의를 들으면서 그 개념이 좀 더 체계적으로 구축되었다. 다문화 교육은 민족주의의 반대 개념인 상호 이질적인 문화가 제도권으로 형성되는 여러 국가나 사회 내에 존재하는 문화의 독자성을 인정하여 자국의 문화를 풍부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인 것이다.
다문화 교육 강의 중에서 나는 ‘제12강. 다문화주의적 매체 활용‘에 대한 강의가 가장 유익했다고 생각한다. 도서와 영화, 뉴스, 지역 사회의 자원,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방법이 자연스럽다고 느껴졌다. 흔히 다른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그 나라에서 직접 체험하고 느끼면서 공부하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하지만, 돈과 시간의 제한으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거나 공부하는 것이 다음 방법에 해당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끔 각국 문화원에서 이루어지는 영화보기 또는 문화행사에 참여해보면 각 나라마다 특색이 나타나기 때문에 나는 문화별로 적용하는 매체를 다르게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 다문화교육론, 정민승, 방송대 교육학과
· 중등, 학교가자, 중학교 음악, 세계 민요, https://mid.gegdaegu.org/archive/m/music
· 다문화교육 수업 도움자료, 중앙다문화교육포털, 2023
· https://edu4mc.or.kr/edu/list.html?field=THEMES&value=02&event=like
· (가칭)징검다리학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강남욱, 경인교육대학교, 2019.0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