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본론
(1) 건강 불평등 문제에 대한 정의
(2) 건강 불평등 현황
(3) 건강 불평등 원인
(4) 건강 불평등의 원인에 대한 대안 제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OECD 보건 통계 2023‘ 기대수명 83.6년 등 한국 보건의료 수준 양호, 의료기기 산업 종합정보 시스템, 2023
의 주요 지표를 살펴보면, 대한민국의 건강 수준, 병상, 의료장비 및 보건의료 이용수준은 OECD 평균 대비 매우 높다고 나타나지만,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건강 수준에 차이가 나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실제로, 사회적 경제적 상황과 건강이 직접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입증되고 있으며, 특히 부상/발병과 같은 상병과 사망 수준이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은 역학연구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난다. 2000년대 이후에 들어서면서 전 세계적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건강 불평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으므로 건강 불평등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2. 본론
(1) 건강 불평등 문제에 대한 정의
WHO(세계 보건 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전통적인 건강의 중요성에 사회정의 면에서의 사회적 가치를 강조하여 건강은 무병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하게 안정된 상태 주제네바 대한민국대표부, UN/정무, 보건(WHO), 2007.05.16
‘라고 정의하면서, 인종 및 종교, 정치사회, 경제적 상태에 상관없이 건강을 누릴 권리가 있다는 것을 기재하였다. 이후 1998년 영적인 측면에서의 건강개념을 추가하면서, 건강의 의미가 사회적인 상태를 포함하는 생활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생활개념으로서의 건강에서 발생하는 개인 또는 소속된 집단 사이의 격차 또는 차이를 건강 불평등으로 정의 우리나라의 건강형평성 ; 현황과 과제, 건강 복지 포럼, 2014.04
할 수 있으며, 이때 사회적 집단 사이에서 경제적으로 가난하거나 사회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개인 또는 집단들이 상병 또는 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건강 결과가 체계적으로 나타나면서 회피 가능한 차이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equity and health, Whitehead, Int J Health Serv
. 1992;22(3):429-45. doi: 10.2190/986L-LHQ6-2VTE-YRRN.
로 나타날 수 있다. 반면 건강 평등은 모든 사람에게 공정하게 기회가 주어져, 개인 또는 소속집단, 국가 등의 사회경제적 조건과는 별개로 최고의 건강 상태를 성취 및 유지할 수 있는 환경 Braveman & Gruskin, Defining equity in health.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3; 57: 254-258.
을 의미한다.
참고자료
· 건강 불평등 문제, 사회문제론 06강, 김재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개념으로서의 건강: 비판적 고찰, 성기현, 카톨릭대학교, 서강대학교 생명문화 연구소 2017, vol 46, pp. 59-100 (42 pages)
· 지역적 건강 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 수준의 건강 결정 요인, 이진희, 플로리다주립대학교, 보건 사회 연구 36(2), 2016, 345-384
· 우리나라의 건강 형평성:현황과 과제, 김동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포럼(2014.4.)
·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핀란드 노스카렐리아 프로젝트의 성공요인’, 질병관리본부(2013),
·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fo0301.jsp?menuIds=HOME001-MNU0004%20MNU0036-MNU0037&q_type=&year=2013&cid=20799&pageNum=
· 지역 간 건강 불평등 해결을 위하여, 윤태호, 부산대학교, 월간복지동향, 201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