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_의료기술의 꾸준한 발전과 건강 지식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건강 불평등은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뿐더러 심지어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심심치 않게 들린다. 교재 6장 건강 불평등 문제를 비롯해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건강 불평등 문제에 관해 설명하고, 건강 불평등의 원인과 관련한 다양한 설명들을 정리한 다음 (11)
- 최초 등록일
- 2024.07.17
- 최종 저작일
- 2024.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직접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참고용으로 사용하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건강불평등이란?
2. 건강불평등 문제
3. 건강불평등 원인
4. 이러한 설명 중 가장 설득력이 높은 것 하나를 선택해 이에 근거해 대안을 제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경제력과 학력차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코로나19 이후 심화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윤영호 교수팀(윤제연 교수, 한림대 심진아 교수)은 코로나 발생 전후와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사회경제적·인구학적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해 국제학술지인 BMC 공공보건(BMC Public Health)에 발표했다. (메디칼트리뷴, 2022) 연구팀은 성인 총 2,200명을 대상으로 2018년과 2022년에 신체 및 정신건강, 사회기능 및 대인관계 등 사회적 건강, 자원봉사 및 종교활동 등 영적 건강을 설문조사했는데 그 결과, '건강 상태가 아주 좋다'는 응답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코로나 이후 정신적 건강(2018년 38.71%, 2021년 35.17%), 사회적 건강(42.48% 대 33.28%)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다. (메디칼트리뷴, 2022) 이어 최종학력, 가계월수입 등 사회경제적 요인과 성별, 나이, 결혼 여부, 거주지역 등 인구학적 요인을 설문조사한 다음 2018년과 2021년의 이들 항목 분포 차이를 보정해 분석했는데 그 결과, 코로나 대유행 후 정신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은 가계월수입(3천달러 미만)과 최종학력(고졸 이하)이었으며 영향력은 코로나 이전 보다 증가했다. (메디칼트리뷴, 2022) 가계 수입이 월수입 430만원 미만인 경우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1.8배에서 2.4배로,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1.7배에서 2.5배로 늘었고 고졸이하 학력이 미치는 영향 역시 2.3배에서 2.6배로 높아졌다. (메디칼트리뷴, 2022) 정말 처절한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론에서는 건강 불평등 문제에 관해 설명하고, 건강 불평등의 원인과 관련한 다양한 설명들을 정리한 다음, 이러한 설명 중 가장 설득력이 높은 것 하나를 선택해 이에 근거해 대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겠다.
Ⅱ. 본론
1. 건강불평등이란?
건강은 매우 모호한 개념으로서 이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한 정의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참고 자료
경기연구원, 건강불평등 심화, 대응정책은 적절한가?, 2016
메디칼트리뷴, 코로나19 이후 정신·사회건강 불평등 심화, 2022
인천in, 건강불평등 원인은 '사회·경제 양극화', 2021
라이프인뉴스, 왜 가난한 사람들은 더 많은 질병에 걸릴까?, 2022
설윤, 양극화 해소를 위해선 어떻게 경제정책을 수립해야하는가, 자유기업원, 2021
김동진,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라이프인뉴스, 왜 가난한 사람들은 더 많은 질병에 걸릴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