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삶 ) 이 도시숲은 개발로 인해 유입된 많은 사람들의 과도한 이용과 관리 소홀로 인해 그 숲에 서식하고 있던 생물(야생동물, 식생) 종의
ReportRed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일본학과, 관광학과, 보건환경학과, 농학과 | 학년 | 1학년 |
---|---|---|---|
과목명 | 숲과삶 | 자료 | 24건 |
공통 |
도시주변의 숲환경이 좋았던 어떤 한 도시(가정)의 A지역이 과도한 개발로 인해 개발 이후 한 가운데 섬처럼 남겨진 도시숲이 있다. 이 도시숲은 개발로 인해 유입된 많은 사람들의 과도한 이용과 관리 소홀로 인해 그 숲에 서식하고 ...
도시주변의 숲환경이 좋았던 어떤 한 도시(가정)의 A지역이 과도한 개발로 인해 개발 이후 한 가운데 섬처럼 남겨진 도시숲이 있다. 이 도시숲은 개발로 인해 유입된 많은 사람들의 과도한 이용과 관리 소홀로 인해 그 숲에 서식하고 있던 생물(야생동물, 식생) 종의 감소와 숲길 훼손이 심각하게 진행되어 가고 있다. 이 숲의 생태적 건강성 회복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30점)
|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도시 숲이란 무엇인가
가. 도시 숲의 개념
나. 도시 숲의 기능과 구분
다. 도시 숲의 역할
2. 도시 숲의 훼손 원인과 대책
가. 토양 산성화
1) 발생원인 및 영향
2) 토양 산성화 방지 대책
나. 답압 현상
1) 발생원인 및 영향
2) 답압 현상 방지 대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시 생태계란 인간이 활동하기 위해 형성된 공간으로, 인공적 요소인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이 지배적이며 자연 요소는 변형된 생태계를 의미한다. 오일찬·김근한·명수정·박창석·구경아·최재용, 「녹색복원을 통한 도시 생물다양성 증진 방향」, 한국환경연구원, 2022, 6쪽 참고.우리나라의 도시 생태계는 매우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자생 능력을 상실하고 도시지역 내 숲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방치되고 있어, 생태적 건강성이 악화하는 상황이다. 김충열·문현식·김태운·조민기·강미영·안기완·임효인,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한 울산 대왕암 도시숲의 관리방안」, 『한국도서연구』, 제28권 제4호, 2016, 141쪽 참고.
도시 생태계의 변화는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정신적·신체적인 영향을 미치며, 열섬현상·대기오염 등 도시의 환경에도 영향을 주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적·문화적 기능 및 자연치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 숲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김충열 외, 위의 논문, 2016, 141쪽 참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도시 숲에 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국민의 생활환경 개선 및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으로 도시 숲을 조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실제로 도시 숲은 도시 내에 조성된 숲으로, 도시 숲은 환경 오염을 줄이고 생물 종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등 환경적 측면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도시 숲의 생활권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주는 등 정신적 건강 향상에도 일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도시 숲은 도시에 있기 때문에 도시로부터 끊임없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훼손된다. 도시로부터 오는 오염물질은 숲의 식생이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고, 사람들이 도시 숲에 방문할수록 숲은 계속해서 피해를 입는다.
우리나라 인구의 대다수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지금, 한국 사회는 앞으로도 도시에 거주할 사람들을 위해 도시를 살기 좋게 유지하고 가꿀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도시 숲이란 무엇이며 도시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도시 숲이 훼손되는 주요 원인과 이에 따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충열·문현식·김태운·조민기·강미영·안기완·임효인,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한 울산 대왕암 도시숲의 관리방안」, 『한국도서연구』, 제28권 제4호, 2016.김태호, 「한라산과 다랑쉬오름 등산로의 답압에 의한 토양 압밀현상」,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9권 제2호, 2003.
김태호, 「지리산 및 한라산 등산로의 훼손 유형」,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 2011.
남은희, 「생태계서비스를 통한 평택시 도시숲 평가와 보완방향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여운상, 「도시숲 복원을 통한 쾌적·안전 도시 실현」, 『BDI 정책포커스』, 114호, 2011.
오일찬·김근한·명수정·박창석·구경아·최재용, 「녹색복원을 통한 도시 생물다양성 증진 방향」, 한국환경연구원, 2022.
이규송·최오길·김석철, 「답압이 설악산 아고산대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제25권 제5호, 2002.
정원교, 「토양 산성도의 이해와 산성토양의 관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제25권 제25호, 2006.
조현제, 「도시숲의 기능과 역할」, 『숲과 문화』, 제12권 제3호, 2003.
진현오·김은영·이충화, 「인공산성우가 잣나무 묘목의 생장, 영양상태 및 토양산성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과학회지』, 제89권 제3호, 2000.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산림청-[휴양복지]-[도시숲/무궁화/보호수]-[도시숲의 분류 및 기능]
https://www.forest.go.kr/kfsweb/kfi/kfs/cms/cmsView.do?mn=NKFS_03_14_01_01&cmsId=FC_001303
이승우, 「도시숲 토양산성화의 문제와 대책」, 2007, 한국임업진흥원-[임업정보]-[통합자료실]-[일반자료실] https://www.kofpi.or.kr/info/combineBBS_01view.do
이승우, 「도시 숲의 건강을 해치는 답압」, 2008. 한국임업진흥원-[임업정보]-[통합자료실]-[일반자료실] https://www.kofpi.or.kr/info/combineBBS_01view.do